<속보>=아산신도시 2단계 개발지역 중 70%가 사실상 사업계획에서 제외되면서 아산시와 해당 주민들이 허탈해 하고 있다. <본보 7월28일, 8월 2일, 24일자 16면 보도>건설교통부는 지난 10일 아산시와 충남도 등에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요청한 아산신도시 2단계 2차지구 사업 구역 축소를 위한 아산탕정 택지개발 사업 예정지구 변경에 대한 입장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21면
건교부의 아산시와 충남도에 대한 의견 요청은 사실상 절차 행위에 불과해 아산 신도시 2단계 2차지구의 축소는 사실상 확정 절차만 남겨두게 됐다.
이에 대해 아산시는 건교부와 LH 측에 2단계 사업구역 축소에 대한 지역발전 저해와 지역민의 분위기를 전하며 사업계획을 원안대로 추진해줄 것을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아산시 신도시 2단계 개발 지역은 1764만 2000㎡를 개발할 계획이었지만 이번 사업계획 축소로 1247만 3000㎡가 빠지고, 517만㎡만 개발하게 된다. LH는 천안시 불당동 일대에 대한 보상을 마무리한 후 오는 10월부터 우선 사업지역인 배방읍 세교·휴대리와 탕정면 매곡리 일부 지역 등에 대한 보상에 나서게 된다.
아산 신도시 2단계 사업축소로 당초 계획했던 인구 12만 9600여 명에서 5만 3600여 명으로 크게 감소하고, 사업기간은 2016년 완공에서 1년 앞당긴 2015년 마무리 하게 된다.
아산시는 건교부의 사업계획 축소 공문을 접수하고, 관계자 회의를 통해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뾰족한 대안이 없어 허탈해 하고 있다.
현지 주민들도 사업계획 백지화가 가져올 후폭풍을 우려하며 앞으로 향방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이 지역 주민들은 토지 보상을 믿고 대토 등을 위해 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한 1003억 원에 대한 이자가 연간 90억 원 발생하고 있어 이에 따른 후유증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시 관계자는 "건교부와 LH에 조속한 보상을 전제로 한 당초 사업계획대로 개발해줄 것을 정식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산=정재호 기자 jjh3428@cctoday.co.kr
건교부의 아산시와 충남도에 대한 의견 요청은 사실상 절차 행위에 불과해 아산 신도시 2단계 2차지구의 축소는 사실상 확정 절차만 남겨두게 됐다.
이에 대해 아산시는 건교부와 LH 측에 2단계 사업구역 축소에 대한 지역발전 저해와 지역민의 분위기를 전하며 사업계획을 원안대로 추진해줄 것을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아산시 신도시 2단계 개발 지역은 1764만 2000㎡를 개발할 계획이었지만 이번 사업계획 축소로 1247만 3000㎡가 빠지고, 517만㎡만 개발하게 된다. LH는 천안시 불당동 일대에 대한 보상을 마무리한 후 오는 10월부터 우선 사업지역인 배방읍 세교·휴대리와 탕정면 매곡리 일부 지역 등에 대한 보상에 나서게 된다.
아산 신도시 2단계 사업축소로 당초 계획했던 인구 12만 9600여 명에서 5만 3600여 명으로 크게 감소하고, 사업기간은 2016년 완공에서 1년 앞당긴 2015년 마무리 하게 된다.
아산시는 건교부의 사업계획 축소 공문을 접수하고, 관계자 회의를 통해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뾰족한 대안이 없어 허탈해 하고 있다.
현지 주민들도 사업계획 백지화가 가져올 후폭풍을 우려하며 앞으로 향방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이 지역 주민들은 토지 보상을 믿고 대토 등을 위해 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한 1003억 원에 대한 이자가 연간 90억 원 발생하고 있어 이에 따른 후유증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시 관계자는 "건교부와 LH에 조속한 보상을 전제로 한 당초 사업계획대로 개발해줄 것을 정식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산=정재호 기자 jjh3428@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