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직 공무원 자녀의 특혜 취직 파문이 대학입시 전형인 입학사정관제로 여파가 확산되고 있다.

평가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학생의 잠재력을 평가하는 입학사정관제 특성에 따라 특혜 의혹이 불거질 수 있어 교육당국이 실태조사 방침을 밝히고 대학별로 공정성 확보방안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최근 입학사정관제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교수나 교직원 자녀 등의 특혜 여부가 있는지 실태조사를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대학별로 교수와 교직원 자녀가 특혜를 받은 사례가 있는지, 특혜 의혹 방지를 위한 제도적 절차는 있는지 여부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해 미흡한 대학에 대해서는 상담 등을 통해 시정조치하겠다는 것이다.

특히 실태조사를 통해 특혜 의혹이 제기된 대학에 대해서는 교과부 차원에서 감사를 실시, 행정적인 제재도 가한다는 입장이다.

이는 최근 정부 고위 관료의 자식이 특채된 것과 관련, 공정성 확보가 사회적 화두로 떠오르면서 입학사정관제로까지 확산된 것이다.

이 같은 교육당국의 방침에 따라 입학사정관제 전형을 실시하는 대전과 충남지역 대학들도 평가과정의 공정성과 신뢰성 확보에 각별한 공을 들이고 있다.

충남대는 각 평가단계에서 입학사정관들이 평가한 점수가 크게 벌어졌을 경우 다른 사정관이 참여해 재평가하는 방식을 통해 자칫 제기될 수 있는 의혹을 불식시킨다는 방침이다.

배재대는 사정관들에게 지원자의 출신학교와 출신지역 등 특혜의혹의 단초가 제기될 수 있는 신상정보를 차단한 상태에서 각 평가부문에 대한 심사를 진행한다. 또 사정관별로 지원자에 대한 점수 차이가 크게 발생했을 경우에도 평가과정에서의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다른 사정관이 참여해 재평가를 갖고 이를 종합해 최종적으로 평가결과를 도출한다는 계획이다.

건양대는 지난 7월 입학사정관 전형에 참여하는 사정관 63명이 모여 워크숍을 갖고 평가과정에서 공정성과 신뢰성을 다짐하는 윤리강령 서약식을 가졌다.

건양대는 지원자들의 수험번호 외에 별도의 관리번호를 부여해 사정관들이 학생들의 출신학교 등 신상정보는 물론이고 수험번호조차 모른 상태에서 평가작업을 진행하는 철저한 '익명화 평가방식'을 활용한다

특히 1차 서류 전형 합격생들 중 사정관들과 친·인척 관계가 확인 될 경우 평가작업에서 배제시키는 등 특혜 의혹 불씨를 사전에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교육계 관계자는 “각 대학별로 최근의 사회적 분위기를 감안해 불공정 소지가 발생했을 경우 치명적인 만큼 공정성 확보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