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곡물 자급률 확충문제가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충남도의 밀 재배 면적이 고작 95㏊에 머물고 있어 재배면적 확충을 위한 획기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된다.
특히 최근들어 기상이변 등의 영향으로 국제곡물가격이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어 수입대체는 물론, 국산 소맥류 자급률 제고를 위한 중장기적인 대책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 삼성경제연구소 자료에 따르면 올 하반기 소맥 평균가격은 상반기 대비 35.7%가량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따라 농산물 가격 급등으로 일반 물가가 덩달아 상승하는 이른바 ‘애그플레이션(농업(agriculture)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까지 초래될 것으로 우려돼 곡물 자급을 위한 다각적인 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고조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지난 8월 농림수산식품부가 국내 소맥자급률을 오는 2017년까지 10% 확대한다는 방침을 밝힌 가운데 여타 자치단체에서는 이미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맥류는 수입단가가 높고 그만큼 수요도 많다는 점에 착안해 각 자치단체가 앞다퉈 재배면적 확충을 위한 행·재정적인 지원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전남도의 경우 올해 밀 재배면적은 5182㏊로 지난해 1525㏊에 비해 239%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이어 전북 3830㏊, 경남 2532㏊ 등으로 이들 지자체 역시 지난해 대비 각각 171%, 90% 증가했다.
반면 충남도 재배면적은 95㏊에 머물러 사실상 밀 자급생산을 위한 노력이 극히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서천군의 경우 올해 밀 재배면적을 80㏊ 이상까지 끌어올린다는 방침이었지만, 절반인 40㏊ 수준에 그치고 있다.
서천군 관계자는 “밀 재배를 위한 기후, 환경적 제약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서도 “재배면적 확보를 위해서는 사일로와 같은 저장시설의 건설이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결과적으로 밀 재배면적 확보를 위한 저장시설 확충, 품종 개발 및 보급, 시기별 재배기술의 농가 보급 등을 통한 중장기적 계획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셈이다.
충남도 관계자는 “밀의 수확시기가 느려 모내기 일정에 지장을 주고 있기 때문에 재배면적이 그리 많지 않다”면서 “특히 각 시·도별로 재배 여건이 달라 농가들이 밀 보다는 농가실정에 맞는 타 작물을 재배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이와 관련 충남농업기술원 관계자는 “밀 재배는 실질적으로 농가소득에 큰 도움이 되지만 벼농사에 지장을 줄 것이라는 ‘심리적 요인’이 크게 작용한다”며 “밀도 옛 품종에 비해 지속적으로 수확기가 빨라지고 있어 장기적 안목에서 재배를 촉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
특히 최근들어 기상이변 등의 영향으로 국제곡물가격이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어 수입대체는 물론, 국산 소맥류 자급률 제고를 위한 중장기적인 대책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 삼성경제연구소 자료에 따르면 올 하반기 소맥 평균가격은 상반기 대비 35.7%가량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따라 농산물 가격 급등으로 일반 물가가 덩달아 상승하는 이른바 ‘애그플레이션(농업(agriculture)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까지 초래될 것으로 우려돼 곡물 자급을 위한 다각적인 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고조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지난 8월 농림수산식품부가 국내 소맥자급률을 오는 2017년까지 10% 확대한다는 방침을 밝힌 가운데 여타 자치단체에서는 이미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맥류는 수입단가가 높고 그만큼 수요도 많다는 점에 착안해 각 자치단체가 앞다퉈 재배면적 확충을 위한 행·재정적인 지원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전남도의 경우 올해 밀 재배면적은 5182㏊로 지난해 1525㏊에 비해 239%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이어 전북 3830㏊, 경남 2532㏊ 등으로 이들 지자체 역시 지난해 대비 각각 171%, 90% 증가했다.
반면 충남도 재배면적은 95㏊에 머물러 사실상 밀 자급생산을 위한 노력이 극히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서천군의 경우 올해 밀 재배면적을 80㏊ 이상까지 끌어올린다는 방침이었지만, 절반인 40㏊ 수준에 그치고 있다.
서천군 관계자는 “밀 재배를 위한 기후, 환경적 제약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서도 “재배면적 확보를 위해서는 사일로와 같은 저장시설의 건설이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결과적으로 밀 재배면적 확보를 위한 저장시설 확충, 품종 개발 및 보급, 시기별 재배기술의 농가 보급 등을 통한 중장기적 계획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셈이다.
충남도 관계자는 “밀의 수확시기가 느려 모내기 일정에 지장을 주고 있기 때문에 재배면적이 그리 많지 않다”면서 “특히 각 시·도별로 재배 여건이 달라 농가들이 밀 보다는 농가실정에 맞는 타 작물을 재배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이와 관련 충남농업기술원 관계자는 “밀 재배는 실질적으로 농가소득에 큰 도움이 되지만 벼농사에 지장을 줄 것이라는 ‘심리적 요인’이 크게 작용한다”며 “밀도 옛 품종에 비해 지속적으로 수확기가 빨라지고 있어 장기적 안목에서 재배를 촉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