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서천·괴산·보은 등 충청지역 일부 시·군의 고령화 속도가 매우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의 고령화 추이자료에 따르면 충청지역에서 고령화가 가장 심각한 곳은 충북 괴산군으로 군민의 30.25%가 65세 이상 노인인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10년 전 고령화 정도(16.27%) 보다 배 가까이 증가하는 등 속도가 빨라진 것으로 파악됐다.

충남 청양군이 28.61%로 두 번째로 심했고, 충북 보은군(28.07%), 충남 부여군(24.66%), 충남 금산군(22.30%), 충북 영동군(22.74%), 충남 예산군(21.48%), 충북 단양군(21.08%), 충북 옥천군(20.95%) 등이 20%대가 넘는 고령화 정도를 나타냈다. 반면, 대전지역 5개 구와 계룡시(5.42%), 청주시 흥덕구(5.91%), 천안시(6.72%) 등은 고령인구가 10% 이내였다. 15세 미만 인구 역시 고령화와 깊은 관련이 있었다. 고령화 정도가 높은 도시에서 15세 미만 인구 비율은 낮았지만 고령화 정도가 낮게 나타난 시·군에서 15세 인구비율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처럼 고령화 정도가 심화되면서 자치단체의 대응도 바빠졌다. 충남도의 경우 지난해부터 노인복지 5개년 계획을 수립해 2년 째 시행하고 있다. 정부에서도 기초노령 연금 등을 책정할 때 고령화 정도에 따라 국비와 도비, 자치단체가 부담해야 하는 비율을 달리하는 등 차등 지원을 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저출산 문제 해결’과 ‘시군 간 균형발전’이 답보된 상태에서 ‘지역 간 고령화 격차 해소’를 기대하기란 힘들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 전문가는 “고령화로 인해 일부 시·군은 일할 사람이 부족하고 도시의 활기도 잃어가고 있다”면서 “이 같은 악순환이 반복되면 시군 간 격차가 더욱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항룡 기자 prime@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