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당국이 공개한 학자금 대출 제한 대학들은 침통한 분위기속에서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대입 수시모집을 앞둔 상황에서 정부로부터 사실상 부실대학으로 낙인이 찍히게 되는 것으로 본격적인 신입생 모집에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일부 대학은 평가기준 자체의 공정성과 객관성에 문제가 있다며 교육당국에 공식적으로 이의제기를 준비하는 등 대응책 마련에 분주하다.
교육계 일각에서는 재정상태와 입학자원 등 교육여건 면에서 차이가 큰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학 간 상황 및 특성을 고려치 않아 비수도권 지역 소규모 대학이 상당수 지정될 것이란 우려가 현실화됐다며 반발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가 공개한 제한대출그룹에 속하는 한 대학 관계자는 "대학별,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오랜 역사가 있는 수도권의 소위 명문대를 기준으로 평가가 이뤄졌다"며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역사가 짧은 비수도권 대학들이 피해를 입게 됐다"고 평가과정의 불공정성을 제기했다.
이 관계자는 "장기적인 발전계획에 따라 각종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상황에서 날벼락을 맞게 됐다"며 "공식적으로 이의를 제기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특히 대입 수시모집을 앞둔 상황에서 정부로부터 사실상 부실대학으로 낙인이 찍히게 되는 것으로 본격적인 신입생 모집에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일부 대학은 평가기준 자체의 공정성과 객관성에 문제가 있다며 교육당국에 공식적으로 이의제기를 준비하는 등 대응책 마련에 분주하다.
교육계 일각에서는 재정상태와 입학자원 등 교육여건 면에서 차이가 큰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학 간 상황 및 특성을 고려치 않아 비수도권 지역 소규모 대학이 상당수 지정될 것이란 우려가 현실화됐다며 반발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가 공개한 제한대출그룹에 속하는 한 대학 관계자는 "대학별,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오랜 역사가 있는 수도권의 소위 명문대를 기준으로 평가가 이뤄졌다"며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역사가 짧은 비수도권 대학들이 피해를 입게 됐다"고 평가과정의 불공정성을 제기했다.
이 관계자는 "장기적인 발전계획에 따라 각종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상황에서 날벼락을 맞게 됐다"며 "공식적으로 이의를 제기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