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 재도약’을 주창했던 정부가 막상 내년도 벤처기업 관련 예산의 대폭 삭감을 추진하면서 대덕 벤처기업들의 위기감도 커지고 있다.

가뜩이나 수도권 소재 벤처기업 위주의 예산 편성에 치이던 대덕 벤처들은 전체 예산마저 줄면서 더욱 갈증에 시달릴 전망이다.

7일 벤처업계 및 관련 기관에 따르면 중소기업청이 내년도 ‘벤처경쟁력 강화 사업’ 예산으로 160억 원을 신청했지만, 기획재정부는 이를 63억 원으로 대폭 줄인 심의를 진행 중이다.

지난해 가을 중기청 비상경제대책회의 이후 벤처기업 재도약을 이루겠다던 MB정부지만, 막상 벤처경쟁력 강화 사업 예산은 지난해 130억 원에서 올해에는 82억 7000만 원, 내년엔 63억 원 등으로 2년 사이 절반이나 줄인 셈이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지역의 벤처업계의 불안과 반발도 확산되고 있다.

매년 중기청이 마련한 벤처경쟁력 강화 사업 예산의 80% 가량이 지경부 직속의 KOVA(벤처기업협회)로 가고 있다.

그런데 KOVA는 전국 단위 지회를 가졌다고 하지만 대다수의 회원사는 서울과 수도권 소재 벤처기업들로, 사실상 수도권 벤처에 집중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 지역 벤처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때문에 관련 예산이 줄어들수록 지역 벤처들의 상대적 자금 가뭄과 소외는 더욱 클 수 밖에 없다는 것.

지역의 한 벤처 관계자는 “서울과 수도권의 벤처기업들은 대부분 시장 중심형 기업으로 자금 지원에 있어 우선 순위에 있지만, 지역 벤처들은 지역 특화사업과 연관된 경우가 많다”며 “때문에 실제 정부 지원에 있어서는 지역 벤처들의 혜택이 훨씬 적을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지역의 벤처업계 종사자들은 이번 정부의 벤처관련 예산의 대규모 축소가 지역 벤처는 물론 지역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다른 관계자는 “기재부의 벤처 예산 축소 심의는 특히 지방 벤처와 여성 벤처에 큰 타격을 주고 국토 균형발전과 일자리 창출도 저해할 것”이라며 “정부가 한 쪽에선 벤처 재도약을 한다면서 막상 관련 예산은 터무니 없이 줄이는 등 정책의 일관성마저 의심된다”고 말했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