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곤파스로 인한 충남지역 피해를 조속히 복구하기 위해서는 하루빨리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충남지역은 지난 7월 집중호우로 인해 막대한 피해를 입은데다 이번에 또다시 태풍이 관통하면서 엄청난 피해가 발생했다. 이에 따라 서산·태안·홍성·당진·예산 등 일부지역의 경우 자치단체 예산으로는 도저히 피해복구를 감당하기 어려운 실정에 놓여있다.
때문에 피해지역의 조속한 복구 및 지자체의 재정부담을 완화시켜 주기 위해서는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통해 조속한 피해복구에 나서는 한편, 주민들의 생활안정 지원에 나서야 할 것이란 지적이다.
현행 재난관리법에 따르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될 경우 자치단체의 복구비 부담을 완화시켜 주기 위해 국비를 지원해 주는 한편, 응급대책 및 재해구호와 복구에 필요한 행정·재정·금융·세제 등의 특별지원을 할 수 있다. 또한 사망위로금 및 부상자 치료비, 주택복구비, 생계지원비 등 주민안전을 위한 다양한 피해 재발 방지책을 추진할 수 있다.
충남도에 따르면 태풍 곤파스로 인한 충남도내 피해상황은 사망 1명, 부상 1명, 이재민 159세대 358명 발생(119세대 271명 귀가), 도로 10개소와 학교시설 29개소 등 공공시설 파손(피해액 125억 3200만 원), 휴양림 1개소 및 방파제 파손, 주택 등 사유시설 파손(피해액 544억 원)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특히 과수 낙과로 인한 피해액도 수백 억 원에 달하는 등 피해규모가 막대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충남도는 이에 따라 공무원 4490명, 군·경 9210명 등 1만 8693명을 비롯해 굴삭기 179대 등 731대의 장비를 투입해 응급복구에 나서고 있지만 항구복구까지는 상당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아울러 피해시설 신고 접수 및 현장 조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피해규모가 갈수록 늘고 있어 앞으로 피해액은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자유선진당 임영호 정책위의장(대전 동구)은 “이번 태풍으로 인한 충남지역 피해가 워낙 심각하다”며 “정부는 더이상 시간을 끌지말고 빠른 시일 내에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
충남지역은 지난 7월 집중호우로 인해 막대한 피해를 입은데다 이번에 또다시 태풍이 관통하면서 엄청난 피해가 발생했다. 이에 따라 서산·태안·홍성·당진·예산 등 일부지역의 경우 자치단체 예산으로는 도저히 피해복구를 감당하기 어려운 실정에 놓여있다.
때문에 피해지역의 조속한 복구 및 지자체의 재정부담을 완화시켜 주기 위해서는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통해 조속한 피해복구에 나서는 한편, 주민들의 생활안정 지원에 나서야 할 것이란 지적이다.
현행 재난관리법에 따르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될 경우 자치단체의 복구비 부담을 완화시켜 주기 위해 국비를 지원해 주는 한편, 응급대책 및 재해구호와 복구에 필요한 행정·재정·금융·세제 등의 특별지원을 할 수 있다. 또한 사망위로금 및 부상자 치료비, 주택복구비, 생계지원비 등 주민안전을 위한 다양한 피해 재발 방지책을 추진할 수 있다.
충남도에 따르면 태풍 곤파스로 인한 충남도내 피해상황은 사망 1명, 부상 1명, 이재민 159세대 358명 발생(119세대 271명 귀가), 도로 10개소와 학교시설 29개소 등 공공시설 파손(피해액 125억 3200만 원), 휴양림 1개소 및 방파제 파손, 주택 등 사유시설 파손(피해액 544억 원)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특히 과수 낙과로 인한 피해액도 수백 억 원에 달하는 등 피해규모가 막대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충남도는 이에 따라 공무원 4490명, 군·경 9210명 등 1만 8693명을 비롯해 굴삭기 179대 등 731대의 장비를 투입해 응급복구에 나서고 있지만 항구복구까지는 상당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아울러 피해시설 신고 접수 및 현장 조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피해규모가 갈수록 늘고 있어 앞으로 피해액은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자유선진당 임영호 정책위의장(대전 동구)은 “이번 태풍으로 인한 충남지역 피해가 워낙 심각하다”며 “정부는 더이상 시간을 끌지말고 빠른 시일 내에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