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 후 할 수 있는 일이 정말 많지 않더라구요. 여러 회사에 입사지원서를 넣어봤지만 뭐라 얘기도 없고, 너무 놀기 그래서 수소문 끝에 시작한 게 이 일(호프집)이었습니다.”

최근까지 모 공기업에서 일하다 퇴직한 정 모(55·대전 서구 ) 씨의 말이다.

정 씨는 “나름의 준비 끝에 집 가까운 곳에 호프집을 열었지만 지난해 경기침체가 심화되면서 (자신의 인건비를 제외하고도) 매달 적자를 보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주부 이 모(51) 씨 역시 생계를 위해 최근 가게를 오픈했다. 식당일을 하면서 모아 둔 돈에 대출까지 받아 장만한 조그만 토스트가게였다. 하지만 주변에 경쟁점들이 생겨나기 시작하면서 곧 위기가 찾아왔다. 하지만 이 씨는 지금도 별다른 대안을 찾지 못한 채 미래를 걱정하고 있었다.

이들 경우처럼 주변에서 ‘실업형 또는 생계형 자영업주’들을 쉽게 찾아 볼 수 있지만 이들에 대한 지원책은 사실상 전무해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실업형·생계형 자영업주’란 기업적인 마인드보다는 생계를 유지하거나 취업의 대체 수단으로 창업을 하는 이들을 말한다.

생계가 우선이다보니 확장 등 기업화가 쉽지 않고 이는 곧 경쟁력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다.

학계 및 관련업계 등에 따르면 ‘실업형·생계형 자영업주’의 수가 적지 않다. ‘일자리 없는 성장’이 상당기간 지속되고, 내수경기 침체로 비수출업종 기업들이 채용을 줄이면서 일자리를 찾지 못한 이들이 창업시장으로 몰렸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대형화 등으로 자영업이 ‘위기’를 맞으면서 그 수가 소폭 줄긴했지만 여전이 많은 이들이 생계 또는 구직 대체 수단으로 창업시장에 문을 두드리는 경우가 많다는 분석이다.

문제는 이들 상당수가 자본력 등 경쟁력이 부족해 ‘조그만 위기’나 실패에도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김우영 공주대 경제학과 교수는 “창업을 바라보는 시각에 있어 유럽국가와 차이가 있다”면서 “유럽국가들의 경우엔 고용창출과 국가성장에 창업이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지만, 우리의 경우엔 구직 또는 생계를 위한 창업이 많은 편이다. 이는 후진국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매우 흡사하다”고 말했다.

한편 대전시 등 지자체들과 정부는 올 하반기 청년창업을 적극지원하는 등 창업을 통한 고용창출을 모색하고 있다.

하지만 창업자가 늘어도 상당수가 가족중심 경영에 그치는 등 정부가 목표로 하는 일자리 창출이 쉽지 않다는 지적도 많아 이 같은 난제를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성공의 관건이다.

김항룡 기자 prime@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