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이번 주 발표 예정됐던 정부 학자금 대출제한 부실대학 명단 발표가 연기되면서 지역 대학 관계자들의 머릿속이 복잡해지고 있다.
일단 지역 대학들은 8일부터 시작되는 수시모집을 앞두고 ‘발등에 떨어진 불’은 피했다는 반응이지만 추후 공개 가능성이 아직 농후해 안심하지 못하고 있다.
대다수 대학들은 부실대학에 해당하지 않을 것이란 낙관적인 예측을 하면서도 만약 포함될 경우 학교 존립이 위협받을 정도의 적지않은 파장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동원 가능한 모든 채널을 가동, 해당여부를 파악하는 한편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하고 있는 모습이다.
만약 교육당국이 공개적으로 학자금 대출 제한 대학으로 평가할 경우 부실대학으로 낙인 찍혀 조만간 시작되는 수시 신입생 모집에 타격을 받기 때문이다.
입학자원 감소 등으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들의 경우 현재보다 충원율이 더 줄어들 경우 학교 운영은 물론 존립자체가 위협받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상대적으로 재학생 충원율 등 평가점수가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전문대들의 경우 이번 발표를 대학 구조조정 신호탄으로 받아들이고 있어 관심이 쏠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지역 전문대를 포함한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는 최근 정부 측에 대출한도 제한 대학 명단 발표를 재검토할 것을 요구했고 한국대학교육협의회도 ‘대출제한 완화’를 요구했다.
이들은 정부가 대학교육의 질을 높이려는 취지는 이해하지만 먼저 대학 스스로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기회를 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이번 방침은 정부 학자금 대출제도의 본래 취지를 훼손하는 것은 물론 학생들에게 피해가 돌아갈 수 있는 만큼 신중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역 한 대학 관계자는 “비공식적으로 확인한 결과 아직까지는 대전과 충남지역 대학은 해당 대학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며 “현재로선 추후 공개가능성이 높고 만약 포함될 경우 돌이킬 수 없는 위기를 겪게 돼 하위권 학교들의 경우 극심한 불안감에 시달리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교과부는 지난달 25일 전국 345개 국공립·사립·전문대학을 대상으로 취업률과 재학생 충원율, 전임교원확보율 등에 대한 심의를 벌여 학자금 대출이 제한된 부실학교 50개교를 추려냈으며 조만간 이를 발표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일단 지역 대학들은 8일부터 시작되는 수시모집을 앞두고 ‘발등에 떨어진 불’은 피했다는 반응이지만 추후 공개 가능성이 아직 농후해 안심하지 못하고 있다.
대다수 대학들은 부실대학에 해당하지 않을 것이란 낙관적인 예측을 하면서도 만약 포함될 경우 학교 존립이 위협받을 정도의 적지않은 파장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동원 가능한 모든 채널을 가동, 해당여부를 파악하는 한편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하고 있는 모습이다.
만약 교육당국이 공개적으로 학자금 대출 제한 대학으로 평가할 경우 부실대학으로 낙인 찍혀 조만간 시작되는 수시 신입생 모집에 타격을 받기 때문이다.
입학자원 감소 등으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들의 경우 현재보다 충원율이 더 줄어들 경우 학교 운영은 물론 존립자체가 위협받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상대적으로 재학생 충원율 등 평가점수가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전문대들의 경우 이번 발표를 대학 구조조정 신호탄으로 받아들이고 있어 관심이 쏠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지역 전문대를 포함한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는 최근 정부 측에 대출한도 제한 대학 명단 발표를 재검토할 것을 요구했고 한국대학교육협의회도 ‘대출제한 완화’를 요구했다.
이들은 정부가 대학교육의 질을 높이려는 취지는 이해하지만 먼저 대학 스스로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기회를 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이번 방침은 정부 학자금 대출제도의 본래 취지를 훼손하는 것은 물론 학생들에게 피해가 돌아갈 수 있는 만큼 신중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역 한 대학 관계자는 “비공식적으로 확인한 결과 아직까지는 대전과 충남지역 대학은 해당 대학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며 “현재로선 추후 공개가능성이 높고 만약 포함될 경우 돌이킬 수 없는 위기를 겪게 돼 하위권 학교들의 경우 극심한 불안감에 시달리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교과부는 지난달 25일 전국 345개 국공립·사립·전문대학을 대상으로 취업률과 재학생 충원율, 전임교원확보율 등에 대한 심의를 벌여 학자금 대출이 제한된 부실학교 50개교를 추려냈으며 조만간 이를 발표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