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보험사들이 10여 년 전 판매했던 확정금리 보험 상품들의 만기 도래로 인해 지급금을 마련하느라 진땀을 흘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보험사들이 2000년대 초반 판매했던 7~10년 만기의 확정금리 보험상품에 대한 만기지급금을 입금하고 있는 과정에서 그 규모가 너무 커 냉가슴을 앓고 있다는 것.

보험사들은 이미 텔레마케터나 보험설계사 등을 통해 보험 보장기간을 늘려준다는 식으로 고객들에게 지급금이 상대적으로 적은 상품들로 ‘갈아타기’를 권유해, 일부 고객들은 신상품으로 갈아탄 상태다.

그러나 기존 상품을 고수한 고객들에게는 만기 보험금을 지급해야 하는 상황에서 지급 규모가 만만치 않아 보인다.

실제 모 생명보험사의 경우 10년 전 연 7.5%의 확정금리에 자동이체시 1%, 기타 1% 우대금리를 각각 지급, 모두 연 9.5%의 금리가 적용되는 상품을 취급했다.

이 경우 고객이 10년 만기로 월 30만 원의 상품에 가입했다면 비과세의 경우 이자 1724만 2500원이 붙어 만기지급액은 5324만 2500원에 이르게 된다.

이 상품은 당시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많은 고객들을 끌었고, 최근 만기 고객이 몰리게 돼 한꺼번에 많은 지급금이 나가게 될 상황이다.

이에 대비해 보험사들은 2년 여 전부터 이같은 확정금리 상품에 가입된 고객들을 중심으로 보험료 납입금이 적은 대신 보장 기간이 늘어났다며 새로운 상품으로 갈아탈 것을 권유하는 방식으로 지급금을 낮추려는 노력을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일부 보험사는 해당 상품 개발자를 해고 등 인사조치하는 제재도 함께 실행했다는 소문도 무성하다.

하지만 이 같은 보험사들의 대응책이 고객들에게는 손해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고객들이 갈아탄 새로운 상품들이 보장 기간과 범위만 늘었을 뿐, 기존 상품에 비해 보장금액이 적어졌다는 것.

전직 보험사 관계자는 “모든 고객에게 해당되는 것은 아니지만 보험사들의 ‘상품 갈아타기’ 마케팅이 소비자들에게는 불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다”며 “보험사들이 1990년대 후반 외환위기 이후 고객 유치를 위해 공격적 마케팅을 펼친 결과가 현재에 이르러 악재로 작용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