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대덕산업단지가 착공 20년 만에 준공된다.
2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 1991년 첫 삽을 뜬 대덕산업단지(전 대전 제3·4산업단지) 조성사업은 중부권의 취약한 내륙 공업기반시설을 늘리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시작됐으며, 착수 20년 만인 내달 준공식을 가질 예정이다.
대덕산업단지는 대덕구 신일·목상·문평동 일원에 187만 9155.2㎡ 규모로, 지난 1995년 3월 1단계 준공에 이어 1997년 12월 2단계 준공 절차를 마쳤다.
그러나 지난 1997년 3단계 지구인 폐기물매립장에 대한 조성계획이 인근 주민들의 반대로 차질을 빚으면서 전체 산업단지 준공절차도 계속 늦어졌다.
당시 주민들은 "대규모 산업단지 조성과 제조업체들의 입주로 환경·교통 등의 문제가 심각하다"고 전제한 뒤 "매립장 설립에 따른 환경적 피해가 우려되는 만큼 절대 불가하다"며 폐기물매립장 건설을 반대했다.
산업단지 조성후 폐기물매립장을 건립하지 못할 경우 준공검사에서 제외된다는 '폐기물 처리시설 설치촉진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폐촉법)'에 따라 대덕산단은 외형상으로는 조성과 입주가 끝났지만 법률적·행정적으로는 준공 중인 단지로 10년 넘게 남아 있었다.
그런 와중에 지난해 6월 폐촉법이 개정됨에 따라 시는 지난해 12월 폐기물처리시설 용지를 지원시설용지로 토지이용 계획을 변경한다고 고시하면서 드디어 준공을 위한 행정적 절차를 진행할 수 있게 됐다.
시는 대덕산단 내 1만 6263㎡ 규모의 폐기물매립장 부지를 '대덕특구 공동기숙사·게스트하우스' 및 '영유아보육시설'로 전환, 설립키로 하고, 현재 국비 지원을 요청한 상태다.
대덕산단 내 입주한 300여개 기업들에서 근무하고 있는 1만 3000여 명의 근로자들의 생활편의를 위해 공동기숙사 시설이 필요하고, 산단을 방문하는 외국인들을 위한 숙소도 시급하다는 것이다.
대덕특구 공동기숙사 건립사업은 오는 2013년까지 대덕구 신일동 일원에 지하 2층, 지상 13층 연면적 1만 7100㎡ 규모로 350실, 520명 수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
총사업비는 241여억 원으로 시는 현재 100억 원을 국비로 지원받기 위해 지식경제부에 예산반영을 요청했다.
또 영유아보육시설은 대덕산단 입주업체 근로자들의 복지 및 육아부분을 담당하기 위해 대덕산단 관리공단이 전담, 추진 중이다.
대덕산단 관리공단은 총사업비 50여억 원을 투입, 5000㎡ 규모의 직장보육시설을 설립키로 하고, 시에 부지매입을 요청하는 한편 입주업체를 대상으로 정확한 수요조사를 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대덕산업단지가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드디어 20년 만에 준공할 수 있게 됐다"며 "산업단지에서 근무하고 있는 근로자들의 복지 증진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잔여 부지를 최대한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2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 1991년 첫 삽을 뜬 대덕산업단지(전 대전 제3·4산업단지) 조성사업은 중부권의 취약한 내륙 공업기반시설을 늘리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시작됐으며, 착수 20년 만인 내달 준공식을 가질 예정이다.
대덕산업단지는 대덕구 신일·목상·문평동 일원에 187만 9155.2㎡ 규모로, 지난 1995년 3월 1단계 준공에 이어 1997년 12월 2단계 준공 절차를 마쳤다.
그러나 지난 1997년 3단계 지구인 폐기물매립장에 대한 조성계획이 인근 주민들의 반대로 차질을 빚으면서 전체 산업단지 준공절차도 계속 늦어졌다.
당시 주민들은 "대규모 산업단지 조성과 제조업체들의 입주로 환경·교통 등의 문제가 심각하다"고 전제한 뒤 "매립장 설립에 따른 환경적 피해가 우려되는 만큼 절대 불가하다"며 폐기물매립장 건설을 반대했다.
산업단지 조성후 폐기물매립장을 건립하지 못할 경우 준공검사에서 제외된다는 '폐기물 처리시설 설치촉진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폐촉법)'에 따라 대덕산단은 외형상으로는 조성과 입주가 끝났지만 법률적·행정적으로는 준공 중인 단지로 10년 넘게 남아 있었다.
그런 와중에 지난해 6월 폐촉법이 개정됨에 따라 시는 지난해 12월 폐기물처리시설 용지를 지원시설용지로 토지이용 계획을 변경한다고 고시하면서 드디어 준공을 위한 행정적 절차를 진행할 수 있게 됐다.
시는 대덕산단 내 1만 6263㎡ 규모의 폐기물매립장 부지를 '대덕특구 공동기숙사·게스트하우스' 및 '영유아보육시설'로 전환, 설립키로 하고, 현재 국비 지원을 요청한 상태다.
대덕산단 내 입주한 300여개 기업들에서 근무하고 있는 1만 3000여 명의 근로자들의 생활편의를 위해 공동기숙사 시설이 필요하고, 산단을 방문하는 외국인들을 위한 숙소도 시급하다는 것이다.
대덕특구 공동기숙사 건립사업은 오는 2013년까지 대덕구 신일동 일원에 지하 2층, 지상 13층 연면적 1만 7100㎡ 규모로 350실, 520명 수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
총사업비는 241여억 원으로 시는 현재 100억 원을 국비로 지원받기 위해 지식경제부에 예산반영을 요청했다.
또 영유아보육시설은 대덕산단 입주업체 근로자들의 복지 및 육아부분을 담당하기 위해 대덕산단 관리공단이 전담, 추진 중이다.
대덕산단 관리공단은 총사업비 50여억 원을 투입, 5000㎡ 규모의 직장보육시설을 설립키로 하고, 시에 부지매입을 요청하는 한편 입주업체를 대상으로 정확한 수요조사를 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대덕산업단지가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드디어 20년 만에 준공할 수 있게 됐다"며 "산업단지에서 근무하고 있는 근로자들의 복지 증진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잔여 부지를 최대한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