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 의원 다수가 소속해 있는 자유선진당이 18대 후반기 첫 정기국회를 비교섭단체 신세로 치르게 돼 지역 현안 해결에 적신호가 켜졌다.

대전·충남의 경우 세종시 관련 법안 및 예산안, 충남도청 신도시 건설 관련 예산 등 현안이 산적해 있지만 지역 다수당인 선진당이 국회 운영에서 사실상 ‘무소속’ 신세나 마찬가지여서 국회 상임위, 예결위에서 어려운 운영이 예상된다.

실제 선진당은 2008년 18대 전반기 첫 정기국회에서 ‘선진과 창조의 모임’이란 교섭단체 구성에 성공해 소속 의원 전부가 상임위 간사를 맡는 등 국회 운영의 한 축을 맡았다. 예산안 처리에 있어서도 교섭단체 간사 역할을 맡아 충청권 예산의 상당부분에 대한 증액을 가져왔다.

반면 지난해 정기국회에선 선진과 창조의 모임이 무너지면서 비교섭단체로 전락해 상임위에서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등 무기력한 모습을 보였다.

선진당의 더 큰 문제는 교섭단체 구성에 있어 뾰족한 방법이 없다는 점이다.

당 고위 관계자는 ‘연말쯤 가면 교섭단체 구성을 생각해 볼만 하다’며 사실상 정기국회 동안 비교섭단체를 벗어날 수 없음을 인정했다.

당내에서도 ‘교섭단체가 아니기 때문에 특별히 할 수 있는 일이 없다’는 분위기가 팽배해 지역관련 법안이나 예산안 증액 등에 소극적인 상황이다.

선진당은 지난 31일 정기국회 대책을 논의한 연찬회에서도 교섭단체 구성 문제를 거론했지만 ‘제자리걸음’에 그쳤다는 후문이다.

이회창 대표는 공식적인 자리에선 이 문제를 전혀 언급하지 않아 그 배경에 오히려 관심이 쏠리는 형편이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