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도안신도시 공공시설 건축사업이 부동산 경기 침체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난이 맞물리면서 표류하고 있다.
부동산 경기침체로 도안신도시 아파트 분양에 차질을 빚고 있는 가운데 향후 몇년간 지자체가 예상했던 주민수가 크게 벗어날 것으로 예측되자 주민자치센터, 도서관 등 건립추진을 일정부분 연기하거나 백지화 논의도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 지자체의 재정난이 불거지면서 타지구에 비해 토지조성원가가 비싼 도안지구 공공시설 건립사업 추진에 지자체들이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어 주민들의 불편과 함께 주거단지 공동화 현상도 우려되고 있다.
1일 도안신도시 토지공급을 맡고 있는 LH에 따르면 현재까지 학교용지, 주민자치센터, 파출소, 소방서, 문화시설, 도서관 용지, 우체국, 사회복지시설 등 공공시설 가운데 학교용지를 제외한 모든 시설이 협의중이거나 협의조차 시작되지 않은 곳도 있다.
현재 도안신도시 하반기 입주 물량은 1·4·6·10블록 등 5200여 가구로 이미 입주를 시작한 16블록 1253가구와 합치면 총 6000여 가구가 하반기 입주할 예정이다.
내년 1월부터 LH는 도안신도시 토지조성공사를 마치고 건물공사에 들어갈 수 있도록 계획했지만 내년도 사업이 추진되는 공공시설물은 학교시설외에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주민자치센터, 파출소, 소방서, 우체국 등 생활편의시설은 건축기준인 5만 인구수를 넘지못할 것으로 예상돼 앞으로 수년간 설치가 요원한 상태다.
특히 2013년 부터는 도안신도시 입주예정 아파트가 부동산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전무한 상태여서 자칫 5년뒤에나 생활편의시설이 설치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어 문제의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이밖에 도서관, 문화시설, 사회복지시설 등 주민복지시설은 지자체의 재정난으로 특정지역의 경우 건립계획 백지화도 논의되는 것으로 확인, 주민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한 구청 복지시설 건립 담당자는 “도안신도시 부지매입비용이 ㎡당 100만원이 넘어 재정난 때문에 힘겨운 상황에서 필요성은 알지만 지자체가 감당하기에는 너무 벅차다”며 “일부 복지시설은 건립이 아닌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등 다양한 방법으로 추진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부동산 경기침체로 도안신도시 아파트 분양에 차질을 빚고 있는 가운데 향후 몇년간 지자체가 예상했던 주민수가 크게 벗어날 것으로 예측되자 주민자치센터, 도서관 등 건립추진을 일정부분 연기하거나 백지화 논의도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 지자체의 재정난이 불거지면서 타지구에 비해 토지조성원가가 비싼 도안지구 공공시설 건립사업 추진에 지자체들이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어 주민들의 불편과 함께 주거단지 공동화 현상도 우려되고 있다.
1일 도안신도시 토지공급을 맡고 있는 LH에 따르면 현재까지 학교용지, 주민자치센터, 파출소, 소방서, 문화시설, 도서관 용지, 우체국, 사회복지시설 등 공공시설 가운데 학교용지를 제외한 모든 시설이 협의중이거나 협의조차 시작되지 않은 곳도 있다.
현재 도안신도시 하반기 입주 물량은 1·4·6·10블록 등 5200여 가구로 이미 입주를 시작한 16블록 1253가구와 합치면 총 6000여 가구가 하반기 입주할 예정이다.
내년 1월부터 LH는 도안신도시 토지조성공사를 마치고 건물공사에 들어갈 수 있도록 계획했지만 내년도 사업이 추진되는 공공시설물은 학교시설외에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주민자치센터, 파출소, 소방서, 우체국 등 생활편의시설은 건축기준인 5만 인구수를 넘지못할 것으로 예상돼 앞으로 수년간 설치가 요원한 상태다.
특히 2013년 부터는 도안신도시 입주예정 아파트가 부동산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전무한 상태여서 자칫 5년뒤에나 생활편의시설이 설치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어 문제의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이밖에 도서관, 문화시설, 사회복지시설 등 주민복지시설은 지자체의 재정난으로 특정지역의 경우 건립계획 백지화도 논의되는 것으로 확인, 주민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한 구청 복지시설 건립 담당자는 “도안신도시 부지매입비용이 ㎡당 100만원이 넘어 재정난 때문에 힘겨운 상황에서 필요성은 알지만 지자체가 감당하기에는 너무 벅차다”며 “일부 복지시설은 건립이 아닌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등 다양한 방법으로 추진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