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저소득층의 인간적인 삶과 정신적, 물질적 지원을 책임지고 있는 사회복지사들이 처우 개선을 요구하고 나섰다.

1만 7000여 대전지역 사회복지사들의 대표단체인 대전시사회복지협의회 임원들은 최근 대전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 소속 의원들과 간담회를 가진 자리에서 ‘돈으로 평가할 수 없는 가치’ 인정을 요구했다.

이들은 대전시의회 의원들에게 △지방복지재정의 안정적 확보 △사회복지사 처우개선 △안정적 근로여건을 위한 조례제정 △복지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복지정책결정과정 등 총 4개의 개선과제를 전달했다.

이 자리에서 이들은 “매년 사회복지사 자격증 취득자 수가 수백 명씩 증가하고 있고 복지수요도 함께 급증하고 있으나 실제 사회복지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부터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단편적인 예로 사회복지사의 임금, 근무여건 등 처우는 고사하고 행정기관에서 사회복지사들을 대하는 태도부터 잘못돼 있고 행정적인 제재와 간섭도 지나치다고 강조했다.

임금 등 사회복지사 처우와 관련해서도 2003년 이후 국가인증 자격이 됐는 데도 다른 자격을 가진 전문인들과 비교할 처우가 낮은게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시설·기관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으나, 사회복지사의 초봉은 연간 1500여만 원부터 2000여만 원까지로 국가 자격증을 가진 타 직종과 비교할 때 절반 정도에 불과한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또 사회복지 부문 종사자의 월 평균 임금은 ‘공공 및 사회복지 부문’ 의 종사자 중 평균 임금 대비 61.4%로 가장 열악하고, 법정근로시간(8시간)을 근무하는 복지사는 전체 조사대상자의 4.8%로 대부분 11시간 이상을 근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김경훈 대전시의회 복지환경위원장 등 6명의 시의원들은 “적극적으로 검토해서 바로 잡을 것은 개선해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진희 대전시사회복지사협회 국장은 “이번 간담회를 통해 그동안 열악했던 소통의 활로를 찾았다”며 “앞으로 우리 사회복지사협회가 요청한 사항이 어떻게 개선되는지 그 여부가 주목된다”고 말했다.

이호창 기자 hclee@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