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희정 충남지사를 보좌할 정책특별보좌관 3명이 지난 달 31일 모습을 드러냈지만 또 다시 측근을 대거 임명, 자기사람 심기가 도를 넘어섰다는 비난의 목소리가 일고 있다.
비록 무보수 명예직이라고는 하지만, 이들이 모두 지난 6·2 지방선거에서 안 지사를 도왔던 인물이라는 점에서 잇단 측근 임명에 대한 비난 수위는 좀처럼 누그러지지 않을 전망이다.
충남도는 31일 박수현(46) 전 대통령자문 국가균형 발전위원회 자문위원과 박정현(46) 민주당 행정도시 원안 추진 특별 위원회 부위원장, 정재호(46) 전 청와대 사회조정비서관 등 3명을 도지사 자문 ‘정책특별보좌관’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이들 3명 모두 지난 지방선거 당시 안 지사의 선거캠프에서 공동선대본부장 또는 특보를 맡았거나 대학시절부터 교분을 나눴던 인물 등이라는 점에서 정무부지사와 비서실 인선에 이어 또 다시 ‘코드 인사’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안 지사가 그동안 취임이후 ‘소통’과 ‘대화’를 최상의 가치로 강조하며 ‘도민과의 대화’, ‘공무원과의 대화’ 등을 통해 열린 도정을 표방해 왔다는 점에서 잇단 선거캠프 출신들의 채용은 ‘위인설관(爲人設官)’의 정형에 다름아니다는 지적도 있다.
특히, 특보의 역할이 도지사를 정책적으로 자문하며 주요 도정 현안에 대해 정책 수립·결정에 관한 보좌 기능을 수행하는 위치라는 점에 비춰볼 때,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문호를 열어야 했다는 점에서 이 같은 비난을 비켜가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게다가 이번 특보단 3명의 나이가 모두 안 지사와 동년배인 46세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과연 도정 전체를 폭넓게 통괄할 수 있느냐는 의구심도 자아내고 있다.
아울러 지난 2008년 혈세 낭비와 성과 미비 등의 이유로 폐지됐던 정책 특보단을 굳이 부활시키면서까지 측근들을 심어야 하느냐는 비판도 일고 있다.
비록 출장비 등 일정액의 여비만 지급하는 무보수 명예직으로 위촉·운영한다고 하지만, 이들이 도정 전반을 에워쌀 경우 자칫 선출직 공직자인 안 지사의 눈과 귀를 외려 어둡게 할 수 있다는 우려도 일고 있다.
이에 따라 민선5기 출범이후 잇따라 채용되는 측근 인사가 ‘인(人)의 장막’으로 작용하는게 아니냐는 걱정소리도 적지 않다.
김종민 정무부지사는 이에 대해 “특보 임명자 모두 인수위 시절 당선자 특보로 초기 도정에 역할을 해야 했었다”며 “그러나 그 당시 훈령에 따르면 특보는 계약직 공무원으로 규정해 보수를 지급해야 했다. 훈령 개정 후 무보수 위촉직으로 임명하기 위해 시간이 걸렸을 뿐”이라고 위촉 배경을 설명했다.
김 부지사는 이어 “향후 행정 수요에 따라 사안이 생기면 다른 다양한 분야의 인물을 물색한 후 임명할 것”이라며 “여러 분야별로 적임자를 찾는데 시간이 걸려 이들의 영입은 내년 초에야 가능하다”고 해명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비록 무보수 명예직이라고는 하지만, 이들이 모두 지난 6·2 지방선거에서 안 지사를 도왔던 인물이라는 점에서 잇단 측근 임명에 대한 비난 수위는 좀처럼 누그러지지 않을 전망이다.
충남도는 31일 박수현(46) 전 대통령자문 국가균형 발전위원회 자문위원과 박정현(46) 민주당 행정도시 원안 추진 특별 위원회 부위원장, 정재호(46) 전 청와대 사회조정비서관 등 3명을 도지사 자문 ‘정책특별보좌관’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이들 3명 모두 지난 지방선거 당시 안 지사의 선거캠프에서 공동선대본부장 또는 특보를 맡았거나 대학시절부터 교분을 나눴던 인물 등이라는 점에서 정무부지사와 비서실 인선에 이어 또 다시 ‘코드 인사’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안 지사가 그동안 취임이후 ‘소통’과 ‘대화’를 최상의 가치로 강조하며 ‘도민과의 대화’, ‘공무원과의 대화’ 등을 통해 열린 도정을 표방해 왔다는 점에서 잇단 선거캠프 출신들의 채용은 ‘위인설관(爲人設官)’의 정형에 다름아니다는 지적도 있다.
특히, 특보의 역할이 도지사를 정책적으로 자문하며 주요 도정 현안에 대해 정책 수립·결정에 관한 보좌 기능을 수행하는 위치라는 점에 비춰볼 때,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문호를 열어야 했다는 점에서 이 같은 비난을 비켜가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게다가 이번 특보단 3명의 나이가 모두 안 지사와 동년배인 46세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과연 도정 전체를 폭넓게 통괄할 수 있느냐는 의구심도 자아내고 있다.
아울러 지난 2008년 혈세 낭비와 성과 미비 등의 이유로 폐지됐던 정책 특보단을 굳이 부활시키면서까지 측근들을 심어야 하느냐는 비판도 일고 있다.
비록 출장비 등 일정액의 여비만 지급하는 무보수 명예직으로 위촉·운영한다고 하지만, 이들이 도정 전반을 에워쌀 경우 자칫 선출직 공직자인 안 지사의 눈과 귀를 외려 어둡게 할 수 있다는 우려도 일고 있다.
이에 따라 민선5기 출범이후 잇따라 채용되는 측근 인사가 ‘인(人)의 장막’으로 작용하는게 아니냐는 걱정소리도 적지 않다.
김종민 정무부지사는 이에 대해 “특보 임명자 모두 인수위 시절 당선자 특보로 초기 도정에 역할을 해야 했었다”며 “그러나 그 당시 훈령에 따르면 특보는 계약직 공무원으로 규정해 보수를 지급해야 했다. 훈령 개정 후 무보수 위촉직으로 임명하기 위해 시간이 걸렸을 뿐”이라고 위촉 배경을 설명했다.
김 부지사는 이어 “향후 행정 수요에 따라 사안이 생기면 다른 다양한 분야의 인물을 물색한 후 임명할 것”이라며 “여러 분야별로 적임자를 찾는데 시간이 걸려 이들의 영입은 내년 초에야 가능하다”고 해명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