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이 내달 1일부터 개회하는 정기국회를 앞두고 의원 연찬회를 통한 전열정비에 나서는 등 18대국회 후반기 의정 활동에 돌입한다.

올해 정기국회는 국회 인사청문의 후폭풍으로 총리 후보자가 낙마하고 일부 장관이 사퇴한 상황이란 점에서 그 어느 때보다 주도권 다툼이 치열할 전망이다.

충청권 현안으로 부상한 세종시 설치법이 이 같은 상황에서 조속히 처리될 지도 관심을 끄는 대목이다. 한나라당은 인사청문 후유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민생국회에 전념하면서 경제살리기에 나선다는 입장이지만 민주당을 포함한 야권에서 인사 책임론과 함께 국정감사를 통해 정부 여당의 실정을 집중 파헤친다는 방침이어서 정치공방을 피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이명박 대통령이 정기국회 기간 중 총리 후보에 대한 지명을 재차 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또 다시 국회 청문회의 인사검증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또 추석 연휴 이후에는 국정감사가 예정돼 있어 후반기를 맞는 이명박 정부에 대한 야권의 날선 비판이 이어질 전망이다. 특히 국감에서 4대강 사업 등 갈등 현안에 대한 공방도 예상돼 파행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 같은 분위기 때문에 국감일정을 놓고도 여야 간 협상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한나라당은 11월 11∼12일 G20(주요 20개국) 서울 정상회의를 앞둔 만큼 추석 연휴 직후인 9월 27일부터 국감에 착수하는 등 조기에 국회 일정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민주당은 당내 전당대회 등 일정을 감안해 10월 3일 전당대회 이후 국감 착수를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감 이후엔 본격적인 예산국회가 기다리고 있다.

충청권의 경우 지난 6월 지방선거를 통해 새롭게 등장한 야당 소속 광역단체장들이 어느 정도 현안 국비 예산을 확보할 지도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