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 일자리 창출사업이 실질적인 고용 증대보다는 취업박람회 등 1회성 행사에 집중, 전시행정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지난 2008년부터 고용노동부를 중심으로 대규모 취업박람회 등 전시성 행사가 투입되는 예산에 비해 고용창출 효과는 미미하다고 판단, 일자리 정책의 일대 변환을 시작했지만 행정안전부 및 각 지자체들은 오히려 박람회 등 전시성 행사를 확대, 중앙부처간, 중앙과 지방간 엇박자를 내고 있다.

30일 고용노동부, 대전시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달 대전도시철도 시청역사에서 가진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찾아가는 취업장터'에 이어 내달 2일 도시철도 대전역사에서 두 번째 취업장터를 개최한다.

또 내달 9일에는 시 복지여성국 주최로 '여성 일과 함께 날다. 행복up희망up!'이라는 주제로 대전시청에서 '2010 대전여성 취업·창업박람회'를 연다.

지자체들의 취업박람회 열기는 뜨거워 올해 시 주최로 열리는 ‘취업박람회 및 Job페스티벌’ 등은 모두 7~8회로 투입된 예산은 국·시비를 포함, 3억 3000여만 원에 달한다. 반면 이달 현재까지 취업박람회 등을 통해 구직이 이뤄진 경우는 300여 건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와 함께 이런 취업행사들이 각 기관별·부서별 자체 사업으로 진행되다 보니 사업의 연속성 및 실효성도 떨어진다는 문제점도 해결해야할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실제 올해 진행됐거나 예정된 행사 7건 중 노인은 시 노인복지과, 장애인은 장애인복지과, 여성은 여성가족청소년과, 찾아가는 취업장터는 시 경제정책과 등 사업명칭별 다원화된 취업박람회는 지역의 구인·구직자간 미스매칭 현상을 오히려 심화시킨다는 것이 고용전문가들의 공통된 주장이다.

또 고용노동부에 집중 포진된 고용관련 전문가들이 행안부, 지자체에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는 점도 각 지역별 일자리 사업의 전문성을 약화시키고 있다.

노동부 관계자는 "심각한 실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부 및 노동부 산하 각 기관들을 중심으로 진행됐던 취업박람회 및 Job 페스티벌 등의 1회성 행사는 투입된 예산에 비해 실효성이 떨어지고, 중복된다는 한계성을 인식, 지양하고 있다"며 "지자체의 취업정보센터가 주민 접근성이 높다는 장점을 활용, 취업지원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일자리 정책을 전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취업박람회 등을 통해 청년, 여성, 고령자, 장애인 등 각 계층별 구직자들에게 맞는 맞춤형 취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고취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고 있다"며 "단지 효율성이라는 측면보다는 취업 소외계층을 위한 복지 및 홍보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