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 최대 현안사업 중 하나인 청주테크노폴리스 조성사업이 연내 금융권 자금지원 가능성이 희박한데다 사업방향 선회조차 현실적으로 어려워 '사면초가' 처지에 놓이게 됐다.

한범덕 시장의 대표 공약사항인 '일자리 4만개 만들기' 실현을 위해서라도 청주테크노폴리스 조성사업이 반드시 수반돼야 하는 만큼 시의 전방위 지원과 대책마련이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29일 청주시에 따르면 지난 7월말 청주테크노폴리스 조성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를 완료하고 교육영향평가에 착수하는 등 행정적 절차를 모두 거쳐 오는 10월 경에는 사업인가까지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사업인가가 내려지면 충북도가 추진중인 청원군 오창산업단지와 청주시 테크노폴리스를 잇는 도로 개설공사도 착수할 수 있게 돼 사업전반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시의 기대와는 달리 국내 부동산경기가 좀처럼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으며 청주테크노폴리스 조성을 위해 필수적인 산업은행의 PF(프로젝트 파이낸싱) 자금의 연내 지원도 어려울 것으로 보여 사업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실제 산업은행 측은 전국의 부동산 경기가 침체된 상황에서 확신없이 많은 액수를 투자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며 청주시가 ㈜신영 등 다른 주주들과 협의하는 방안까지 염두에 둘 것을 권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이 또한 녹록치 않은 실정이다. ㈜신영과 대우건설 등 6개 출자사가 금융권 자금지원도 불투명한 마당에 추가 출자금을 내놓을리 만무하기 때문이다.

이제 와서 7개 출자사들이 참여하는 민관합동 개발방식을 포기하고 국내 굴지의 대기업을 유치해 독자개발하는 방안도 현실적으론 불가능한 상황이다.

절차상 하자 없이 지난 2008년 6월 출범한 특수법인 ㈜청주테크노폴리스를 해체할 수 없는데다 7개 출자사의 동의를 얻더라도 출범 당시 투자된 100억 원의 자본금 대부분이 용역비와 임직원 인건비로 소진된 현 시점에서 출자금 반환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청주테크노폴리스 조성사업과 관련해 주변여건이 좀처럼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자 민선5기 청주시가 이 사업을 지속사업으로 꼽아 세종시 추진과 연계해 PF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방침을 세운 만큼 전방위 지원과 새로운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청주테크노폴리스 자산관리 관계자는 "PF 지원 시점을 그 누구도 예측할 수 없는 만큼 현재로선 분양활동을 강화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사전분양이 상당수 이뤄져 투자가치가 높아진다면 금융권의 자금지원 가능성도 따라 높아지지 않겠느냐"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분양활동 강화를 위해 기업 유치시 시의 전방위 행정적 지원을 약속하는 등 좀 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 지역 경제계 관계자는 "한 시장의 대표 공약사항 중 하나인 ‘일자리 4만개 만들기’를 이행하기 위해선 지역여건을 고려했을 때 반드시 청주테크노폴리스처럼 대단위 산업단지 조성이 수반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일단은 오는 10월까지 행정적 절차를 모두 마무리해 금융권 자금지원이 이뤄졌을 때 사업추진이 즉각 이뤄질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