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동구청이 예산부족을 이유로 신청사 건립사업을 전면 중단한 가운데 미확보 재원에 대한 대안을 찾지 못한 채 골머리를 앓고 있다.
게다가 경상경비 절감 등을 통해 자구책으로 마련한 예산이 부족분에 비해 턱없이 적어 국·시비나 특별재정 지원에 목을 매고 있는 실정이다. 29일 대전시와 동구청 등에 따르면 대전 동구청 신청사 건립사업은 지난 6월 자금난으로 공사가 전면 중단된 가운데 동구는 현청사를 시에 매각, 청소년종합문화회관으로 활용하는 한편 지방채추가발행과 특별재정지원 등을 요청, 부족재원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또 사업비 부족과는 별도로 신청사 건축물 자체의 에너지 및 이용 효율성이 떨어져 완공 후에도 큰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내부에서 제기됐다.
실제 최근 동구가 자체 의뢰해 신청사에 대한 에너지효율 등급을 평가한 결과 4등급으로 나와 비상이 걸렸다.
행정안전부 지침에 의거 현재 신축 중인 지자체 청사는 에너지효율 1등급에 맞게 설계를 변경해 시공하거나 변경이 어려울 경우 에너지 절감안을 마련해야 하고, 최소 3등급 이상이어야 한다.
동구는 이를 위해 LED 조명기구 교체 등 에너지 효율등급을 높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등급 상향 조정은 불투명한 상태다.
이와 함께 신청사는 설계 당시부터 건축물 이용의 효율성을 살리기 보다는 외관에만 치우쳐 동과 동 사이에 이동 통로가 없고, 구청과 구의회, 보건소, 도서관 업무까지 모두 들어설 경우 사무공간이 협소하다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관련 전문가들은 "동구 신청사는 건축물 내부를 비워놓은 형태로 설계돼 동과 동 사이를 왕래하기 위해서는 1층이나 꼭대기 층으로 가서 이동해야 하는 등 이용자들의 불편이 예상된다.
또 바닥면적에 비해 실면적이 상대적으로 적어 사무공간이 좁아 이전해야 한다는 구청 측 주장과도 전혀 상반된다"며 설계상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에 구 관계자는 "신청사는 호화청사가 아니며, 국제공공디자인 대상을 수상하는 등 설계상에 어떤 문제점도 없다"면서 "재원부족도 동구만의 문제가 아닌 전국 대부분의 지자체들이 갖고 있는 구조적 문제로 현청사 매각 등을 순조롭게 진행, 신청사 건립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해명했다.
한편 동구는 민선5기 들어 경상경비 절감 등을 통해 27억 원의 예산을 줄였고, 시민·사회단체들은 "정부나 대전시가 동구의 요청을 수락할 경우 '돈 없이도 일단 시작하면 지원받는다'는 식의 행태가 다른 지자체까지 확산될 수 있다"며 "단체장은 물론 해당 지자체의 고위 간부들에 대한 징계 및 구상권 청구가 이뤄진 후에야 지원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게다가 경상경비 절감 등을 통해 자구책으로 마련한 예산이 부족분에 비해 턱없이 적어 국·시비나 특별재정 지원에 목을 매고 있는 실정이다. 29일 대전시와 동구청 등에 따르면 대전 동구청 신청사 건립사업은 지난 6월 자금난으로 공사가 전면 중단된 가운데 동구는 현청사를 시에 매각, 청소년종합문화회관으로 활용하는 한편 지방채추가발행과 특별재정지원 등을 요청, 부족재원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또 사업비 부족과는 별도로 신청사 건축물 자체의 에너지 및 이용 효율성이 떨어져 완공 후에도 큰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내부에서 제기됐다.
실제 최근 동구가 자체 의뢰해 신청사에 대한 에너지효율 등급을 평가한 결과 4등급으로 나와 비상이 걸렸다.
행정안전부 지침에 의거 현재 신축 중인 지자체 청사는 에너지효율 1등급에 맞게 설계를 변경해 시공하거나 변경이 어려울 경우 에너지 절감안을 마련해야 하고, 최소 3등급 이상이어야 한다.
동구는 이를 위해 LED 조명기구 교체 등 에너지 효율등급을 높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등급 상향 조정은 불투명한 상태다.
이와 함께 신청사는 설계 당시부터 건축물 이용의 효율성을 살리기 보다는 외관에만 치우쳐 동과 동 사이에 이동 통로가 없고, 구청과 구의회, 보건소, 도서관 업무까지 모두 들어설 경우 사무공간이 협소하다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관련 전문가들은 "동구 신청사는 건축물 내부를 비워놓은 형태로 설계돼 동과 동 사이를 왕래하기 위해서는 1층이나 꼭대기 층으로 가서 이동해야 하는 등 이용자들의 불편이 예상된다.
또 바닥면적에 비해 실면적이 상대적으로 적어 사무공간이 좁아 이전해야 한다는 구청 측 주장과도 전혀 상반된다"며 설계상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에 구 관계자는 "신청사는 호화청사가 아니며, 국제공공디자인 대상을 수상하는 등 설계상에 어떤 문제점도 없다"면서 "재원부족도 동구만의 문제가 아닌 전국 대부분의 지자체들이 갖고 있는 구조적 문제로 현청사 매각 등을 순조롭게 진행, 신청사 건립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해명했다.
한편 동구는 민선5기 들어 경상경비 절감 등을 통해 27억 원의 예산을 줄였고, 시민·사회단체들은 "정부나 대전시가 동구의 요청을 수락할 경우 '돈 없이도 일단 시작하면 지원받는다'는 식의 행태가 다른 지자체까지 확산될 수 있다"며 "단체장은 물론 해당 지자체의 고위 간부들에 대한 징계 및 구상권 청구가 이뤄진 후에야 지원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