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저축은행들의 예금금리가 인상되고 있는데 반해 대전·충남 지역에 연고를 둔 저축은행들의 금리는 제자리를 지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최근 예금금리를 올린 저축은행들 중 일부는 부동산 PF 부실 논란 이후 사업 재건을 목적으로 자금 동원을 위해 금리를 올렸다는 의혹에 자유롭지 못한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26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1년 만기 정기예금 기준으로 지난 6월말 이후 예금 금리를 인상한 저축은행은 모두 38곳으로 전체 저축은행 105곳의 36.2%에 달하고 있다.
이에 따라 6월말 연 4.15%였던 1년 만기 정기예금 평균금리는 25일 현재 4.25%로 0.1%포인트 상승했다.
실제 새누리저축은행은 예금 금리를 4.2%에서 4.8%로 0.6%포인트나 올렸고, 서울저축은행은 4.3%에서 4.6%로 0.3%포인트 인상했다.
이 외에도 교원나라, W, 현대스위스, 인천 등 14개 저축은행은 예금 금리를 4.5%로 올렸고, 부산HK, SC스탠다드 등 8개 저축은행은 4.4%로 인상했다.
반면 충청권 저축은행들의 경우 4.10%~4.50% 사이의 금리가 약 2개월 이상 변동이 없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저축은행들의 예금금리 인상에 대해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채권을 자산관리공사에 매각해 부실을 상당 부분 떨쳐낸 이후 사업 재개를 위해 저금리 자금을 통해 자본을 확보하려는 목적이 강하다는 설명이다.
반면 대전 지역 일부 저축은행의 경우 이러한 부실피해가 없거나 규모가 작아 굳이 자금을 동원하지 않아도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시중 예금금리가 뒷걸음을 치고 있는 상황에 예금금리를 올려 자금을 모집하는 저축은행의 경우 금리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BIS비율(자기자본비율) 또는 은행의 PF대출 규모 등을 고려해 투자해야 한다”며 “현재 대전·충남권의 일부 저축은행들은 BIS비율이나 부실로 인한 피해가 적어 굳이 예금금리 인상을 통한 자금 동원이 필요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26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1년 만기 정기예금 기준으로 지난 6월말 이후 예금 금리를 인상한 저축은행은 모두 38곳으로 전체 저축은행 105곳의 36.2%에 달하고 있다.
이에 따라 6월말 연 4.15%였던 1년 만기 정기예금 평균금리는 25일 현재 4.25%로 0.1%포인트 상승했다.
실제 새누리저축은행은 예금 금리를 4.2%에서 4.8%로 0.6%포인트나 올렸고, 서울저축은행은 4.3%에서 4.6%로 0.3%포인트 인상했다.
이 외에도 교원나라, W, 현대스위스, 인천 등 14개 저축은행은 예금 금리를 4.5%로 올렸고, 부산HK, SC스탠다드 등 8개 저축은행은 4.4%로 인상했다.
반면 충청권 저축은행들의 경우 4.10%~4.50% 사이의 금리가 약 2개월 이상 변동이 없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저축은행들의 예금금리 인상에 대해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채권을 자산관리공사에 매각해 부실을 상당 부분 떨쳐낸 이후 사업 재개를 위해 저금리 자금을 통해 자본을 확보하려는 목적이 강하다는 설명이다.
반면 대전 지역 일부 저축은행의 경우 이러한 부실피해가 없거나 규모가 작아 굳이 자금을 동원하지 않아도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시중 예금금리가 뒷걸음을 치고 있는 상황에 예금금리를 올려 자금을 모집하는 저축은행의 경우 금리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BIS비율(자기자본비율) 또는 은행의 PF대출 규모 등을 고려해 투자해야 한다”며 “현재 대전·충남권의 일부 저축은행들은 BIS비율이나 부실로 인한 피해가 적어 굳이 예금금리 인상을 통한 자금 동원이 필요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