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가 전국 최고의 ‘청정 종돈장’이라며 자랑한 종돈장이 산업단지에 편입돼 문을 닫을 처지에 놓였다.
청원군 오창읍에 위치한 ㈜한우리육종(대표 김계숙)은 지난 3월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의 위생·방역관리 인증심의 결과 전국 종돈장 중에서 유일하게 12종의 모든 가축전염병 검사에서 비발생 판정을 받으며 전국에서 제일 청정한 최우수 종돈장으로 인증 받았다.
충북도는 이 같은 사실을 청정축산지역 ‘청정충북’에 앞장 서는 농장이라며 보도자료를 통해 홍보하기도 했다.
하지만 한우리육종은 충북개발공사가 시행중인 오창제2산업단지 배수지 설치지역으로 지정돼 폐쇄해야 할 위기에 처했다.
한우리육종 측은 당초 오창제2산업단지 사업부지에 포함되지 않았던 지역인데 청원군 측에서 “축사로 인한 악취로 산업단지 조성 후 분양에 악영향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제거하기 위해 축사를 편입했다”며 이는 법률에 근거하지 않고 기본권을 침해한 행위라고 반발하고 있다.
또 청원군이 이 같은 조치를 취한 이유는 김재욱 전 청원군수와 한우리육종 김계숙 대표의 선친까지 이어지는 악연으로 인해 발생한 것이라는 게 김 대표의 주장이다.
김 대표는 “지난 2003년 종돈장 신축 허가를 받았지만 오랜 기간 소송을 거쳐 지난 2008년에야 완공됐다”며 “시설투자비만 30억 원이 넘게 들어간 종돈장을 불과 3년도 안 돼 철거해야 한다는 사실이 어이가 없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어 “공무원이었던 선친이 김 전 군수와 악연이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 김 전 군수는 충북도 농정과장으로 재직하던 시절부터 악감정을 가진 것을 숨기지 않았다”며 “결국 청원군수로 당선되자 산업단지에 포함시켜 사업이 무산될 위기에 처하게 됐다”며 산업단지 편입이 김 전 군수의 소행이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김 대표는 또 “오창 제2산단은 당초 오창과학산업단지 입주업체들을 지원하는 중소기업 위주로 입주한다고 했지만 결국 대기업들의 입주가 결정됐다”며 “대기업을 위해 지역 기업이 쫓겨나야 하는 현실이 개탄스럽다”고 밝혔다.
현재 김 대표는 충북도를 상대로 산업단지 지정 취소 소송을 제가한 상태다.
이 같은 한우리육종의 주장에 대해 청원군은 재판 결과를 지켜보며 수용절차를 진행하겠다는 입장이다.
청원군 관계자는 “산업단지에 편입된 토지 중 일부가 수용되지 않아 사업에 지장이 발생하고 있다”며 “지구지정 취소 소송에서 승소한 만큼 산업단지 지정 취소 소송 재판 진행 상황을 지켜본 후 수용절차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수지 위치 선정과 관련한 의혹에 대해서는 “당초 평지에 배수지를 설치하려 했지만 상수도사업소에서 배수 효율을 위해서는 고지대에 위치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해 한우리육종 부지를 배수지로 결정했다”고 일축했다.
청원=심형식 기자
letsgohs@cctoday.co.kr
청원군 오창읍에 위치한 ㈜한우리육종(대표 김계숙)은 지난 3월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의 위생·방역관리 인증심의 결과 전국 종돈장 중에서 유일하게 12종의 모든 가축전염병 검사에서 비발생 판정을 받으며 전국에서 제일 청정한 최우수 종돈장으로 인증 받았다.
충북도는 이 같은 사실을 청정축산지역 ‘청정충북’에 앞장 서는 농장이라며 보도자료를 통해 홍보하기도 했다.
하지만 한우리육종은 충북개발공사가 시행중인 오창제2산업단지 배수지 설치지역으로 지정돼 폐쇄해야 할 위기에 처했다.
한우리육종 측은 당초 오창제2산업단지 사업부지에 포함되지 않았던 지역인데 청원군 측에서 “축사로 인한 악취로 산업단지 조성 후 분양에 악영향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제거하기 위해 축사를 편입했다”며 이는 법률에 근거하지 않고 기본권을 침해한 행위라고 반발하고 있다.
또 청원군이 이 같은 조치를 취한 이유는 김재욱 전 청원군수와 한우리육종 김계숙 대표의 선친까지 이어지는 악연으로 인해 발생한 것이라는 게 김 대표의 주장이다.
김 대표는 “지난 2003년 종돈장 신축 허가를 받았지만 오랜 기간 소송을 거쳐 지난 2008년에야 완공됐다”며 “시설투자비만 30억 원이 넘게 들어간 종돈장을 불과 3년도 안 돼 철거해야 한다는 사실이 어이가 없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어 “공무원이었던 선친이 김 전 군수와 악연이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 김 전 군수는 충북도 농정과장으로 재직하던 시절부터 악감정을 가진 것을 숨기지 않았다”며 “결국 청원군수로 당선되자 산업단지에 포함시켜 사업이 무산될 위기에 처하게 됐다”며 산업단지 편입이 김 전 군수의 소행이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김 대표는 또 “오창 제2산단은 당초 오창과학산업단지 입주업체들을 지원하는 중소기업 위주로 입주한다고 했지만 결국 대기업들의 입주가 결정됐다”며 “대기업을 위해 지역 기업이 쫓겨나야 하는 현실이 개탄스럽다”고 밝혔다.
현재 김 대표는 충북도를 상대로 산업단지 지정 취소 소송을 제가한 상태다.
이 같은 한우리육종의 주장에 대해 청원군은 재판 결과를 지켜보며 수용절차를 진행하겠다는 입장이다.
청원군 관계자는 “산업단지에 편입된 토지 중 일부가 수용되지 않아 사업에 지장이 발생하고 있다”며 “지구지정 취소 소송에서 승소한 만큼 산업단지 지정 취소 소송 재판 진행 상황을 지켜본 후 수용절차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수지 위치 선정과 관련한 의혹에 대해서는 “당초 평지에 배수지를 설치하려 했지만 상수도사업소에서 배수 효율을 위해서는 고지대에 위치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해 한우리육종 부지를 배수지로 결정했다”고 일축했다.
청원=심형식 기자
letsgoh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