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지역 77개 ‘동주민자치센터’의 업무가 매년 가중되는 반면 인력은 10년 전의 절반수준에 머물러 업무 과다에 따른 행정서비스의 저하가 우려된다. 허만진 기자 hmj1985@cctoday.co.kr  
 
대전지역 ‘동주민자치센터’ 직원들이 업무 과다에 따른 행정서비스의 질적 저하를 우려하고 있다.

일선 행정업무에 주민자치프로그램 운영까지 해마다 업무는 가중되는 반면 인력은 답보상태에 머물면서 고유 업무인 사회복지 등 각종 행정에 누수현상을 보이고 있다.

25일 대전시, 5개 자치구 등에 따르면 구별 동주민자치센터는 동구 16개소, 중구 17개소, 서구 23개소, 유성구 9개소, 대덕구 12개소 등 모두 77개소에 각각 9~10명의 공무원들이 배치, 운영되고 있다.

이들 주민센터들은 지난 2000년 정부의 동사무소 업무재분배 동기능 변환 방침에 의거, 15~20명에 달하던 인력을 대부분 반으로 줄였고, 기초 민원 및 사회복지서비스 업무만을 담당, 나머지 업무는 구청과 시청으로 이관됐다.

그러나 현재까지 매년 업무가 추가되면서 고유업무외에 △직능단체 관리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 △선거업무 △희망근로사업 △청소 업무 △민방위 업무 △제설작업 △의료 및 복지급여 관리 등 100여 가지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직원은 반으로 감소한 반면 업무는 10년 전에 비해 2~3배나 늘어난 것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각 동 주민센터 직원들은 동주민센터를 기피 부서로 분류하면서 업무 과부하를 호소하고 있다.

한 주민자치센터 직원은 “민원인을 수시로 상대하면서 고유업무 및 부수업무는 말할 것도 없고, 센터 프로그램운영도 주민들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것이지만 공무원이 관리를 안할 수 없다”며 “서예교실 요가교실 댄스교실 각동마다 5개 내지 10개 직원들이 관리하는 등 신경쓸 곳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여기에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복지분야 업무도 동사무소 업무 과부하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어 업무 과부하는 더욱 심각해질 전망이다.

자치구도 수년째 인력난을 감내하고 있지만 기존 인력의 인건비도 해결할 수 없는 재정난을 겪고 있어 동사무소 추가 인력배치 문제는 뒷전으로 밀려난지 오래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구 현안사업에 밀려 소외받고 있는 동주민센터의 근본적인 구조 조정이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 관련공무원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한 자치구 관계자는 “업무과부하로 동주민센터 공무원 인원을 늘려야 한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여건이 전혀 안된다. 최소한의 인원으로 최대효과를 창출할 수 밖에 없다”면서 “하지만 각 동사무소의 업무여건 등을 분석, 판단해서 비교적 업무가 수월한 동주민센터에서 인력을 지원받아 수요가 많은 곳에 재배치를 검토할 계획은 있다”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