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는 24일 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와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내정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열어 자질과 정책 역량, 도덕성 등을 집중 점검했다.
국회는 25일에도 김 총리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를 열어 증인 신문을 통해 각종 의혹을 집중 추궁하겠다는 입장이어서 청문 정국의 하이라이트가 될 전망이다.
이날 민주당 등 야당은 김 총리 후보자의 박연차 게이트 연루 의혹, 재산형성 과정과 스폰서 문제, 공직자로서의 도덕성 등을 집중 거론하며 검증에 집중했다.
반면 여당인 한나라당은 김 후보의 친서민 정책 의지, 대북관 등 정책질의에 집중해 사실상 방패역할을 했다.
민주당은 이날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진수희 보건복지부 장관, 조현오 경찰청장 내정자에 대해 직무 부적격 의견을 모으고 인사청문회 경과보고서를 채택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혀 이명박 대통령의 입장이 주목된다.
민주당 이용섭 의원은 "지난 3년 7개월 간 김 후보자의 순소득은 2억 6200만 원이었고, 이 기간 순재산증가액은 부동산 가치상승으로 인한 자연증가분을 제외하면 2억 6100만 원"이라며 ‘스폰서’ 의혹을 제기했다.
같은 당 박영선 의원은 "H건설회사 대표로부터 빌린 7000만 원을 언제 갚았는지 영수증을 제출하라. 안 갚았다면 뇌물"이라고 추궁했다.
이에 대해 김 총리 후보는 '박연차 게이트' 연루 의혹에 대해 "정말 터무니없는 얘기"라며 "지난 2009년 대검 중수부의 수사를 받았지만 무혐의 내사 종결된 것으로 안다"고 일축했다.
김 후보는 "(건설회사로부터 뇌물을 받은) 그런 사실이 있다면 당장 사퇴하겠다"며 "이자까지 포함해 은행에 입금한 내역이 다 있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김 후보는 민주당 박병석 의원이 ‘관용차의 사적 용도 사용’을 지적한데 대해 “유류비를 환급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는 등 일부 사안에 대해 사과했다.
한편 신 내정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는 5차례의 위장전입과 일산 오피스텔에 대한 양도 소득세 회피 의혹, 경기도 양평의 임야 투기 의혹, 부인의 위장취업 의혹 등에 대한 야당 의원들의 질타가 잇따랐다.
신 내정자는 청문회에서 위장전입 사실을 시인, 사과한 데 이어 부인의 위장취업 의혹에 대해서도 “절차가 합법적이었지만 작은 욕심을 부린 것 아니냐는 점에서 반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국회는 25일에도 김 총리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를 열어 증인 신문을 통해 각종 의혹을 집중 추궁하겠다는 입장이어서 청문 정국의 하이라이트가 될 전망이다.
이날 민주당 등 야당은 김 총리 후보자의 박연차 게이트 연루 의혹, 재산형성 과정과 스폰서 문제, 공직자로서의 도덕성 등을 집중 거론하며 검증에 집중했다.
반면 여당인 한나라당은 김 후보의 친서민 정책 의지, 대북관 등 정책질의에 집중해 사실상 방패역할을 했다.
민주당은 이날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진수희 보건복지부 장관, 조현오 경찰청장 내정자에 대해 직무 부적격 의견을 모으고 인사청문회 경과보고서를 채택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혀 이명박 대통령의 입장이 주목된다.
민주당 이용섭 의원은 "지난 3년 7개월 간 김 후보자의 순소득은 2억 6200만 원이었고, 이 기간 순재산증가액은 부동산 가치상승으로 인한 자연증가분을 제외하면 2억 6100만 원"이라며 ‘스폰서’ 의혹을 제기했다.
같은 당 박영선 의원은 "H건설회사 대표로부터 빌린 7000만 원을 언제 갚았는지 영수증을 제출하라. 안 갚았다면 뇌물"이라고 추궁했다.
이에 대해 김 총리 후보는 '박연차 게이트' 연루 의혹에 대해 "정말 터무니없는 얘기"라며 "지난 2009년 대검 중수부의 수사를 받았지만 무혐의 내사 종결된 것으로 안다"고 일축했다.
김 후보는 "(건설회사로부터 뇌물을 받은) 그런 사실이 있다면 당장 사퇴하겠다"며 "이자까지 포함해 은행에 입금한 내역이 다 있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김 후보는 민주당 박병석 의원이 ‘관용차의 사적 용도 사용’을 지적한데 대해 “유류비를 환급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는 등 일부 사안에 대해 사과했다.
한편 신 내정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는 5차례의 위장전입과 일산 오피스텔에 대한 양도 소득세 회피 의혹, 경기도 양평의 임야 투기 의혹, 부인의 위장취업 의혹 등에 대한 야당 의원들의 질타가 잇따랐다.
신 내정자는 청문회에서 위장전입 사실을 시인, 사과한 데 이어 부인의 위장취업 의혹에 대해서도 “절차가 합법적이었지만 작은 욕심을 부린 것 아니냐는 점에서 반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