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가 공연단체의 균형발전과 예술의 품격을 높이기 위해 특수시책으로 시행한 ‘공연분야 창작작품 지원사업’은 취지는 그럴듯 했지만 아쉽게도 실제 성과는 크지 않았다.

당초 도립예술단에 선정되지 않은 3개 장르에 대한 불만을 제고하기 위한 지원책이었기 때문에 각 장르의 특수성과 육성해야 될 단체의 성격을 도외시 한 무분별한 나눠주기 식의 지원이라는 비판을 면치 못했다.

충북지역의 양대 예술단체가 갈등을 빚은 ‘공연분야 창작작품 지원사업’이 지원 대상의 선정과정에서 불거지는 공공성, 투명성의 문제나 관성적인 장르별 배분 문제 등은 예술단체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제도 개선과 함께 지역 문화예술진흥정책에 대한 기본방향의 수정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충북도는 오는 2011년 부터 ‘도 지정예술단 운영’ 추진계획(안)을 내놓았다. 기존 ‘공연분야 창작작품 지원사업’(연 3억원)을 보완해 연극, 무용, 국악 분야를 대상으로 도내 우수예술단체를 공모, 특수예술단을 운영한다는 구상이다. 2년 기간제로 도비 20억원(5억원x4년)을 지원, 도민의 문화향수권 신장에 목표를 두고 있다.

향후 ‘도 지정예술단 운영’은 공연단체들에게 연간 5억 원씩 4년간을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안정적인 작품생산 조건을 만들어 예술단체들이 수준있게 성장할 수 있도록 정책을 보완한 것이다.

그러나 지원금의 무조건적인 확대가 반드시 긍정적인 방향은 아니다. 지원금을 어떻게 사용해 공연의 질을 높일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단순히 ‘돈’을 보조하고 생색내는 시혜성 행정으로 부터 벗어나 실질적인, 제도적 지원책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이 사업이 다른 지원사업과 차별화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예술현장의 요구를 수렴해 공연단체의 어려움을 해결해야 할 것이다

연극, 무용 등 무대예술이 낙후되어 있는 현실을 인지하면서도 이 분야와 타 장르와의 균형적 발전방안이 차별적으로 마련되지 않은 것도 타당성을 잃은 계획이다.

따라서 현재 검토되고 있는 지원사업 계획안은 백화점식 구색 갖추기여서 실질적인 대안으로의 수정이 요구된다.

시행과정에서 몇 가지 검토되어야 할 과제가 있다. 지원사업의 혜택이 소수단체에 집중되는 만큼 지원심의에 있어서 명확한 선정원칙과 기준을 설정해야 한다. 과감한 선정보다는 '잘 나가는 단체'를 도와주자는 식의 부익부 빈익빈형 지원정책이 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있다.

심사선정 원칙을 객관화된 기준을 새로 마련해 투명하고 공정한 심사로 우수작품이 지원되도록 유도해야 한다.

지원작품에 대한 작품성과 지원사업자의 신뢰성을 평가해 예산집행의 적정성을 유지하는 일도 중요하다. 사전 지원심사와 사후평가의 환류시스템을 구축해 공연작품의 사후관리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공연작품의 완성도, 출연진의 공연수준, 당초 계획의 실현성, 지속적인 재공연 가능성 등을 공연을 관람한 후 평가토록 해야 한다. 즉 책임평가 체제를 구축함으로써 공연작품의 질적향상을 기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다.

지역 예술계 인사들은 "약간의 시행착오와 부작용도 있을 수 있지만 지속적으로 보완하면 좋은 결과가 나올 것”이라며 “실현될 수 있는 것을 중심으로 지원사업을 실천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현숙 기자 leehs@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