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 속에서 창조된 ‘드로잉’으로 만들어진 예술작품.
대전창작센터 전관에서 내달 1일부터 오는 11월 21일까지 ‘공간 속을 탐험하는 드로잉의 선’(Long Live Drawing! Ⅱ-Spatial Drawing)전시회를 개최한다.
전시에 참여하는 작가는 대전, 부산의 지역작가를 비롯한 일본, 독일의 작가도 참여해 눈길을 끈다.
일본작가 요타로 니와, 독일작가 레피디우스·린드플레쉬, 대전지역작가 허구영·이영민, 부산작가 김대홍·김은주 등 총 8명의 작가가 참여해 드로잉 및 영상, 설치부문 40여점을 전시한다.
이번 전시는 ‘공간 속을 탐험하는 드로잉의 선’이 주제로 21세기 다양화된 현대 드로잉 중 캔버스나 종이에 그려지는 형식에서 벗어나 공간 전체로 뻗어나가는 새로운 경향의 드로잉을 소개한다.
‘공간 속을 탐험하는 드로잉의 선’ 전시는 작품이 설치되는 장소와 긴밀한 연관을 맺는 현대미술의 특징으로, 장소 특정적인 경향과 드로잉과의 연관관계를 보여준다.
지난 2008년 전시된 ‘디지털 시대의 드로잉’이 ‘시대(시간)’에 가능한 드로잉을 선보였다면 이번 전시는 바로 ‘장소’에 가능한 드로잉을 선보인다.
‘드로잉’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 요소인 ‘선’을 이용하되 소실점과 원근에 의해 입체감의 환영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2차원 평면을 벗어나 공간 속을 자유롭게 탐험하고 유영하는 선이 만들어내는 작품들을 소개한다.
작가 김대홍과 독일출신 레피디우스, 린드플레쉬는 건축물의 기존 구조와 주위 풍경들을 연결한다.
작가 이영민은 붉은 줄이 화면을 관통하게 만들어, 최소한의 장치만으로도 인물 주위에 3차원의 입체감을 만들어냈다. 작품은 반복해서 집적한 선으로 거대한 인물의 군상을 만들어내는 작가 김은주의 경우, 천정까지 닿는 거대한 인체 드로잉이 공간 전체를 압도하는 장관을 만들어낸다.
특히 이번 전시는 전시공간의 장점을 살리기 위해, 대부분의 작가가 전시 공간을 사전에 방문해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 낸다. 김대홍, 이영민 등 타 지역에 사는 작가들이 이미 전시장을 사전 답사한 후 새로운 작품을 구상했다.
또 해외 작가인 레피디우스, 린드플레쉬도 국내의 레지던스에 참여해 대전창작센터를 위한 작품을 제작 중이다.
현재 독일에 있으며 오는 24일 대전을 찾을 예정인 요타로 니와도 현장사진과 건축에서 영감을 얻은 작품을 소개한다.
이민기 학예연구실장은 “대전시립미술관은 이번 전시회를 시작으로, 현대미술에서 ‘드로잉’이라는 가장 오래된 미술의 형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계획”이라며 “드로잉의 역사는 18세기 프랑스의 드로잉을 거쳐, 20세기 미술의 초현실주의와 결합되어 작가의 무의식을 드러내는 통로, 가장 억압되지 않고 자유로운 표현방식을 엿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주미 기자 jju1011@cctoday.co.kr
대전창작센터 전관에서 내달 1일부터 오는 11월 21일까지 ‘공간 속을 탐험하는 드로잉의 선’(Long Live Drawing! Ⅱ-Spatial Drawing)전시회를 개최한다.
전시에 참여하는 작가는 대전, 부산의 지역작가를 비롯한 일본, 독일의 작가도 참여해 눈길을 끈다.
일본작가 요타로 니와, 독일작가 레피디우스·린드플레쉬, 대전지역작가 허구영·이영민, 부산작가 김대홍·김은주 등 총 8명의 작가가 참여해 드로잉 및 영상, 설치부문 40여점을 전시한다.
이번 전시는 ‘공간 속을 탐험하는 드로잉의 선’이 주제로 21세기 다양화된 현대 드로잉 중 캔버스나 종이에 그려지는 형식에서 벗어나 공간 전체로 뻗어나가는 새로운 경향의 드로잉을 소개한다.
‘공간 속을 탐험하는 드로잉의 선’ 전시는 작품이 설치되는 장소와 긴밀한 연관을 맺는 현대미술의 특징으로, 장소 특정적인 경향과 드로잉과의 연관관계를 보여준다.
지난 2008년 전시된 ‘디지털 시대의 드로잉’이 ‘시대(시간)’에 가능한 드로잉을 선보였다면 이번 전시는 바로 ‘장소’에 가능한 드로잉을 선보인다.
‘드로잉’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 요소인 ‘선’을 이용하되 소실점과 원근에 의해 입체감의 환영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2차원 평면을 벗어나 공간 속을 자유롭게 탐험하고 유영하는 선이 만들어내는 작품들을 소개한다.
작가 김대홍과 독일출신 레피디우스, 린드플레쉬는 건축물의 기존 구조와 주위 풍경들을 연결한다.
작가 이영민은 붉은 줄이 화면을 관통하게 만들어, 최소한의 장치만으로도 인물 주위에 3차원의 입체감을 만들어냈다. 작품은 반복해서 집적한 선으로 거대한 인물의 군상을 만들어내는 작가 김은주의 경우, 천정까지 닿는 거대한 인체 드로잉이 공간 전체를 압도하는 장관을 만들어낸다.
특히 이번 전시는 전시공간의 장점을 살리기 위해, 대부분의 작가가 전시 공간을 사전에 방문해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 낸다. 김대홍, 이영민 등 타 지역에 사는 작가들이 이미 전시장을 사전 답사한 후 새로운 작품을 구상했다.
또 해외 작가인 레피디우스, 린드플레쉬도 국내의 레지던스에 참여해 대전창작센터를 위한 작품을 제작 중이다.
현재 독일에 있으며 오는 24일 대전을 찾을 예정인 요타로 니와도 현장사진과 건축에서 영감을 얻은 작품을 소개한다.
이민기 학예연구실장은 “대전시립미술관은 이번 전시회를 시작으로, 현대미술에서 ‘드로잉’이라는 가장 오래된 미술의 형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계획”이라며 “드로잉의 역사는 18세기 프랑스의 드로잉을 거쳐, 20세기 미술의 초현실주의와 결합되어 작가의 무의식을 드러내는 통로, 가장 억압되지 않고 자유로운 표현방식을 엿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주미 기자 jju1011@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