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대전시 서구와 유성구 등 자치단체들이 주민들의 행정편의를 외면한 채 이권 싸움에만 매달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대전의 마지막 택지개발지구인 도안신도시가 이달부터 입주를 시작했지만 서구, 유성구 간 행정구역 경계 조정이 실패를 거듭하며 동일 생활권에서 두개의 자치구로 이원화되는 초유의 사태에 직면했다.

특히 해당 기초자치단체간 행정구역 경계 조정이 제자리걸음에 머물고 있지만 대안을 제시하는 등 적극적인 중재자 역할을 해야 하는 대전시는 뒷짐만 지면서 사태를 키우고 있다.

23일 대전시, 서구, 유성구 등에 따르면 도안신도시는 지난 1일부터 16블록을 시작으로 1블록, 4블록, 6블록, 10블록 등 올해에만 6638가구가 입주를 시작, 올해 말까지 모두 2만~3만 명의 새로운 인구가 전입한다. 하지만 행정구역 경계 조정이 실패하면서 전출입, 부동산 이전 등기, 각종 인허가 등 행정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동주민센터 및 파출소, 소방서 등 유관기관 설립 시기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유성구의 경우 오는 2012년쯤 신도시 내 주민센터를 개소할 계획이며, 소방서 신설은 그 이듬해로 내다보고 있지만 이 문제도 우선 행정구역 경계조정이 완료돼야 가시화 될 수 있다. 도안신도시 입주민 우모(32·여)씨는 "도로만 놓으면 사회기반 시설이냐"고 반문하며 "학교, 동주민센터 등 도시기반시설이 전혀 갖춰지지 않은 상황에서 입주를 한 상황에서 어떻게 생활하라는 건지 모르겠다. 아직까지 행정구역조차 정하지 못하고 있고 향후 계획도 불투명한 상황에서 당국의 이기적, 무심한 행정처리가 야속하기만 하다"고 호소했다.

상황이 이런데도 지자체들은 여전히 한 치의 양보 없이 서구는 동서대로를 중심으로, 유성구는 계백로 기준으로의 조정안만 강조하고 있다.

입주민들의 불편은 뒷전으로 밀어 놓은 채 인구·세대수 증대, 국회의원 수 등 행정 및 정치적 문제의 이권싸움에만 열을 올리며 문제해결 의지 자체를 보이지 않고 있는 셈이다. 이들 지자체 담당자들은 "예전과 마찬가지로 현재까지 행정구역 조정과 관련 입장 변화는 없다. 향후 대처에 대해서도 계획하고 있는 바가 없다"며 "시의 조율과 함께 양구간 조율을 기다리고 있다"고 일관했다.

시는 그동안 동서로, 남북로, 계백로 등 대로를 중심으로 구간 경계를 확정해야 한다는 조정안을 제시했지만 적극적인 합의 노력보다는 중재안 제시에 머물고 있다.

시 관계자는 "민원이 계속 발생하기 때문에 경계조정은 필요하지만 선거구 증설 등의 문제로 정치적으로 해결할 상황"이라며 "양구간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해 아직도 자치구 간 경계조정안을 제출하지 않고 있어 시로서는 어쩔 도리가 없다"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