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지난해부터 무리한 전시행정으로 일관하면서 시민들로부터 원성을 사고 있다.

특히 수백억 원의 사업비를 들인 '목척교 복원 정비사업'이 준공식을 앞두고 있지만 정작 교통·환경·안전 등의 문제점들을 개선하지 않은 채 시민들에게 개방, 이에 따른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대전시는 오는 27일 오후 7시 30분 '목척교 복원 정비사업' 준공식을 갖고, 지역의 각계·각층이 참여하는 하나의 문화행사로 준비한다고 23일 밝혔다.

시는 목척교를 원도심 활성화의 기폭제로 삼기 위해 국비 88억 원을 포함, 176억 원의 사업비를 들였으며, 홍명상가와 중앙데파트 철거보상비(687억 원)까지 합치면 모두 863억 원을 투입했다.

그러나 목척교 복원 정비사업 과정에서 불거졌던 △하상도로·하상주차장 폐지 △원도심활성화에 대한 실효성 △불법 주정차 및 노점상 난립 △시설물 안전관리 등의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안은 아직까지 도출되지 않은 채 일단 개방될 예정이다. 우선 홍명상가 및 중앙데파트 철거 과정에서 하상도로가 폐쇄되면서 이 일대를 왕래하는 시민들은 매일같이 교통대란을 겪고 있다.

시가 하상도로 폐쇄 후 제방도로를 일방통행으로 전환, 대체도로로 제시했지만 정작 불법 주정차 차량 및 노점상 등으로 1개 차선이 없어지는 등 차량 운전자들의 불편과 불만은 앞으로 더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하상주차장도 폐지되면서 원도심을 방문하는 시민들이 주차할 곳을 찾지 못해 인근 상가들이 오히려 외면받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또 새롭게 탄생한 목척교가 나무줄기 세포모양을 형상화했다는 점을 아는 시민들이 적지만 현재 목척교 주변에는 조형물을 설명하는 어떤 안내판도 없어 지역의 랜드마크라는 말이 무색한 상황이다.

무엇보다 목척교 복원에 따라 건물주와 세입자간 입장차이가 극명하게 나뉘고 있다.

인근 건물주들은 건물 리모델링 등을 추진하며, 제2의 청계천 특수를 기대하고 있지만 이곳에서 수십 년간 세입자로 지냈던 상인들은 주차장 부족 등을 이유로 매출은 떨어진 반면 임대료는 인상되는 악순환이 가중되고 있다.

이와 함께 목척교 데크 공간이 상대적으로 넓고, 물에 미끄러운 나무 재질로 시공돼 우천이나 야간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를 안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의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은 "지방선거를 앞두고, 시가 대안없이 무리하게 사업을 강행하면서 현재 이 지경까지 왔다"면서 "공사 전부터 제기된 문제점들을 빨리 개선하고, 시민들에게 공개·이해를 구하는 것이 최우선적 과제"라고 지적했다.

반면 시 관계자는 "공사를 하기 전부터 관련 부서들간 회의를 통해 대안을 제시, 시행했다"며 "목척교 복원 정비 사업에 대해 80%의 시민들이 만족하는 만큼 소수의 불편은 감내하는 것이 합리적인 선택"이라고 반박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