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가 지정 신청한 경제자유구역을 지역국회의원이 자신의 지역구를 중심으로 추진의사를 밝혀 중복 지정신청에 따른 경쟁력 상실이 우려되고 있다.

충북경제자유구역의 경우 충북도의 오송메디컬그린시티사업 수정 보완 방침에 따라 재신청이 불가피한데다 정부의 경제자유구역에 대한 구조조정으로 지정에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어 양측의 조율이 시급하다.

한나라당 윤진식 국회의원은 지난 7·28 보궐선거이후 공약사업으로 ‘충주 중심의 경제자유구역 지정’ 추진 의지를 강하게 내비추고 있다.

이같이 윤 의원이 충주를 중심으로 지정 추진 의지를 보이고 있는 경제자유구역은 충북도가 지난 5월 지식경제부에 오송, 오창, 청주국제공항 중심으로 지정을 신청해놓은 상태다.

도는 지시경제부에 오송, 오창, 청주테크노폴리스, 청주국제공항, 증평 등 21.33㎢에 대한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신청했다.

이에따라 지경부는 충북의 예정지를 대상으로 사전답사를 벌였고, 본평가를 앞두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경제자유구역 지정 구조조정에 들어가면서 신규 지정에 악영향이 우려되고 있다.

정부는 사업추진이 부진한 전국 6개의 경제자유구역 내 35개 단위지구에 대한 민간전문평가단의 실사를 거쳐 지정해제 등에 들어갈 예정이다.

여기에 도가 오송바이오메디컬그린시티 사업의 변경 방침을 정하면서 경제자유구역 지정 재신청이 불가피하게 됐다.

지경부의 구조조정 작업과 오송메디컬그린시티 사업 변경 여파로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이 지연될 것으로 예상되는 속에 윤 의원의 공약사업인 충주 중심의 또다른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강행할 경우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도의 한 관계자는 “경제자유구역 지정은 오송바이오메카 육성, 청주국제공항 활성화 등 지역의 미래산업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현안”이라며 “충주 중심의 경제자유구역 지정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추진 상황에 대해서 알려진 것이 없다”고 밝혔다.

이같이 충북내에서 두개의 경제자유구역 지정 추진 논란이 야기되면서 높은 파급효과와 필요성이 강조되는 지역중심의 지정에 악영향을 미치는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역정가의 한 관계자는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은 올해 대통령이 방문해서 지원을 약속할 때까지만 해도 실현 가능성이 높았었다”며 “하지만 지방선거 이후 야당 도지사가 선출되고 경제자유구역 핵심사업이라 할 수 있는 오송메디컬시티사업 변경 등 큰 변수에 봉착해 그 어느때보다 지역역량 결집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따라서, 여권 실세인 윤 의원과 충북도의 경제자유역 지정 실현을 위한 적극적인 조율과 역량결집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