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는 공사에, 공사는 시에 문의해라'며 서로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 처음부터 불이익을 감수하고, 엑스포과학공원에 들어왔지만 해도 너무하다 싶은 것 들이 많다."
대전 엑스포과학공원재창조 사업이 수년간 원점에서 맴돌면서 엑스포과학공원과 공원 내 입주업체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특히 과학공원 입주업체들이 내년도 임대계약 만료를 앞두고, '계약연장이냐 계약해지냐' 등을 놓고, 불안해하고 있지만 정작 대전시나 엑스포과학공원공사 등 운영주체들은 뚜렷한 방향설정 없이 책임 떠넘기기에 급급하다는 지적이다.
22일 대전시, 엑스포과학공원공사, 관련 업체 등에 따르면 엑스포과학공원에 입주한 업체는 모두 52개(위탁시설 포함)로 연간 8억 4500만 원의 임대료(올 3월 기준)를 내고 있다.
문제는 이들 업체들 대부분이 내년도에 계약만료를 앞두고, 계약연장을 원하고 있지만 엑스포과학공원은 이에 대한 판단을 늦추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갑천변에 위치한 식당가를 중심으로 8개의 업체들은 내년 3월로 모두 임대계약 기간이 만료된다.
또 엑스포컨벤션 등 대형 임대업체도 내년 8월 임대계약 만료를 앞두고, 엑스포과학공원과 계약연장에 대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임대업체들은 현재 "우리가 요구하는 것은 두 가지다. 2~3년 계약 연장을 해주던가 보상을 해줘야 한다"며 소송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들은 "10년 전 불모지인 이곳에 5~6억 원씩 투자해서 입주했다. 처음부터 불이익을 감수하고 들어왔지만 너무하다 싶은 것들이 많았다. 자기부상열차 등 주변에 수시로 공사가 이어지면서 실 영업일수는 2~3년에 불과했고, 공사 진행 과정에서 상인들과 상의 한번 한적 없다"며 불만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 임대업체들의 불만은 실제 소송으로도 이어져 한 업소는 엑스포과학공원과 계약연장에 대한 민사소송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엑스포과학공원 측은 "어쩔 수 없다"는 반응이다.
엑스포과학공원 관계자는 "2008년 엑스포과학공원 청산 명령이 떨어지면서 재창조 사업에 대한 논의가 불거졌고, 이때부터 시는 '복잡한 권리관계로 재창조 사업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임대계약이 만료되면 계약해지를 원칙으로 삼아야 한다'고 통보한 상황에서 우리가 이들 임대업체들과 협상할 여력이 없다"고 전제한 뒤 "10년의 계약을 유지한 만큼 기간이익은 충분히 줬기 때문에 추가 연장계약은 힘들 것으로 안다"며 연장계약에 부정적인 의사를 밝혔다.
반면 시는 "엑스포과학공원 청산 작업과 재창조 계획을 수립해야 하고, 지방공사를 흡수 합병할 통합법인 설립을 준비한다”면서 “일정이 맞물려있는 상황에서 청산 및 임대계약 관계는 엑스포과학공원이 자체적으로 알아서 해야 한다"며 중재자 역할에 소극적 태도를 보였다.
한편 염홍철 대전시장은 지난 20일 '민선5기 공약사업 최종보고회'에서 "엑스포공원 내 식당들도 내년 계약이 만료되면, 세계적 수준의 명품식당으로 건립하는 방안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고 언급해 향후 재계약 과정에서 새로운 대안이 모색될 전망이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대전 엑스포과학공원재창조 사업이 수년간 원점에서 맴돌면서 엑스포과학공원과 공원 내 입주업체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특히 과학공원 입주업체들이 내년도 임대계약 만료를 앞두고, '계약연장이냐 계약해지냐' 등을 놓고, 불안해하고 있지만 정작 대전시나 엑스포과학공원공사 등 운영주체들은 뚜렷한 방향설정 없이 책임 떠넘기기에 급급하다는 지적이다.
22일 대전시, 엑스포과학공원공사, 관련 업체 등에 따르면 엑스포과학공원에 입주한 업체는 모두 52개(위탁시설 포함)로 연간 8억 4500만 원의 임대료(올 3월 기준)를 내고 있다.
문제는 이들 업체들 대부분이 내년도에 계약만료를 앞두고, 계약연장을 원하고 있지만 엑스포과학공원은 이에 대한 판단을 늦추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갑천변에 위치한 식당가를 중심으로 8개의 업체들은 내년 3월로 모두 임대계약 기간이 만료된다.
또 엑스포컨벤션 등 대형 임대업체도 내년 8월 임대계약 만료를 앞두고, 엑스포과학공원과 계약연장에 대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임대업체들은 현재 "우리가 요구하는 것은 두 가지다. 2~3년 계약 연장을 해주던가 보상을 해줘야 한다"며 소송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들은 "10년 전 불모지인 이곳에 5~6억 원씩 투자해서 입주했다. 처음부터 불이익을 감수하고 들어왔지만 너무하다 싶은 것들이 많았다. 자기부상열차 등 주변에 수시로 공사가 이어지면서 실 영업일수는 2~3년에 불과했고, 공사 진행 과정에서 상인들과 상의 한번 한적 없다"며 불만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 임대업체들의 불만은 실제 소송으로도 이어져 한 업소는 엑스포과학공원과 계약연장에 대한 민사소송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엑스포과학공원 측은 "어쩔 수 없다"는 반응이다.
엑스포과학공원 관계자는 "2008년 엑스포과학공원 청산 명령이 떨어지면서 재창조 사업에 대한 논의가 불거졌고, 이때부터 시는 '복잡한 권리관계로 재창조 사업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임대계약이 만료되면 계약해지를 원칙으로 삼아야 한다'고 통보한 상황에서 우리가 이들 임대업체들과 협상할 여력이 없다"고 전제한 뒤 "10년의 계약을 유지한 만큼 기간이익은 충분히 줬기 때문에 추가 연장계약은 힘들 것으로 안다"며 연장계약에 부정적인 의사를 밝혔다.
반면 시는 "엑스포과학공원 청산 작업과 재창조 계획을 수립해야 하고, 지방공사를 흡수 합병할 통합법인 설립을 준비한다”면서 “일정이 맞물려있는 상황에서 청산 및 임대계약 관계는 엑스포과학공원이 자체적으로 알아서 해야 한다"며 중재자 역할에 소극적 태도를 보였다.
한편 염홍철 대전시장은 지난 20일 '민선5기 공약사업 최종보고회'에서 "엑스포공원 내 식당들도 내년 계약이 만료되면, 세계적 수준의 명품식당으로 건립하는 방안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고 언급해 향후 재계약 과정에서 새로운 대안이 모색될 전망이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