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주 동남지구 택지개발조성사업에 포함된 운동동 일부 주민들이 보상을 거부하고 있는 가운데 한 주민이 마을길을 걷고 있다. 이 마을은 보상이 끝난 일부 주민들이 떠나면서 밤에는 칠흑같이 어두워 마치 죽은 도시를 방불케하고 있다. 박한진 기자 adhj79@cctoday.co.kr  
 
장마와 집중호우가 끝나고 찌는 듯한 무더위에 택지개발 조성사업 중인 청주동남지구 일대는 주민들의 희비가 교차하고 있었다.

이 지역은 지난 2005년 222만 2000㎡의 택지개발 조성사업이 추진됐지만 각종 주민 마찰과 땅투기 만연으로 난항을 겪었고 아직까지도 일부지역은 지장물조사와 보상이 해결되지 않아 주민들의 불만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청주 상당구 용암동과 지북동, 방서동 등은 지장물 조사가 마무리돼 다음달부터 보상이 실시될 예정으로 비교적 여유로운 모습을 보이고 있는 반면 운동동 주민들은 평생을 살아온 고향을 등지고 헐값보상에 응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22일 주민대책위 사무실에서 만난 오미영(55) 운동동 부녀회장은 “시민들을 위한 개발이 아니라 오히려 타지인들만 몰려와 무허가 건물을 짓고 보상금만 챙긴 꼴이 됐다”면서 “택지개발로 인해 대부분 노인들로 구성된 원주민들만 얼마 안 되는 보상금을 받고 떠나야 되는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주민들에 따르면 운동동의 경우 원주민은 100여 명에 불과했는데 부동산 투기꾼들이 대거 몰려 불과 몇 년 사이에 수백 명으로 급증해 보상을 받은 투기꾼들만 300명은 족히 넘는다.

당초 사업목적은 서민주택을 위한 택지의 효율적인 개발과 저렴한 주택 공급으로 주택난을 해소하고 주거생활의 안정과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키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그러나 당시 주택공사와 지자체가 방심하고 있는 틈을 타서 발 빠른 투기꾼들 대부분은 거액의 보상금을 챙긴 반면 보상이 이뤄지지 않은 40여 명의 주민들은 2년째 컨테이너박스에서 실질적인 보상을 요구하며 몸부림을 치고 있다.

상황이 이렇게 악화일로를 걷자 주민들은 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양대현(62) 운동동 주민대책위 위원장은 “사업이 추진됐던 2005년 공시지가를 적용하다 보니 전답이 3.3㎡당 40만 원에서 50만 원 정도에 불과하다”며 “하지만 개발지구가 아닌 인근 지역은 100만 원이 넘기 때문에 이러한 피해는 시와 LH에서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시행자인 LH에서 여러번 운동동 주민들과 접촉을 했지만 주민들이 감정평가나 보상을 거부하고 있어 진행이 어렵게 되고 있는 것이라고 전했다.

LH 관계자는 “동남지구는 78%가 지장물조사를 마쳤고 지난달 말 보상공고까지 나갔으나 운동동은 주민들이 조사에 응하지 않아 유보한 상태”라며 “지금에 와서 택지개발지구에서 운동동만 제외할 수는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지장물조사에 응하지 않은 주민들을 대상으로 계속 설득해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한진 기자

adhj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