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발전의 미래가 담보된 오송메디컬그린시티 사업 추진 변경과 관련한 파장이 커지면서 이 사업의 타당성 등을 위한 검증위원회 위원들의 비공개에 따른 검증결과에 대한 신뢰도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관련기사 16면

충북도는 민선5기가 시작되면서 초대형 프로젝트인 오송바이오메디컬그린시티 조성 사업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해 13명으로 검증위원회를 구성해 지난달 21일부터 검증활동을 벌이고 있다.

검증위가 그동안 활동했던 결과는 지난 18일 충북도가 사업제안업체인 BMC의 사업포기에 따른 자체 사업 추진을 발표하면서 제출한 관련자료에서 공개됐다.

이 자료에 따르면 검증위는 오송메디컬그리시티 조성사업 필요성은 공감하면서도 △외국교육기관과 외국병원 유치 실현 가능성에 회의적 △MBC제안에 의한 SPC(특수목적법인) 설립 추진 지속성은 부정적 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또 검증위는 △충북도가 추진 주체가 되어 민자사업으로 추진하되 수익창출 모델 구상 △단계별로 실현 가능한 것부터 추진할 것 △전체 개발계획, 학교와 병원 유치를 위한 용역을 병행해 추진할 것을 권장했다.

이처럼 도의 독자 추진을 권장한 검증위는 활동 초기만 해도 당초 계획대로 추진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검증위 활동 과정에서 오송메디컬그린시티 사업에 대해 위원들간에 찬반의견이 갈리면서 진통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검증위의 한 관계자는 “여러 위원들의 프로젝트에 대한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있었으나, 사업 주체가 도가 돼야 한다는 쪽으로 몰아가는 분위기도 있었다”며 지역현안사업 검증과정에서의 공정성 상실에 따른 문제를 제기했다.

검증위원들의 비공개에 따른 문제점도 불거졌다.

도는 “초대형 프로젝트에 대한 검증을 하는 것에 대한 검증위원들의 부담이 있었다”며 “검증위원들을 공개할 경우 위원들이 받게 될 심적 부담과 공정성 결여라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비공개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같은 충북도의 검증위원 비공개에 대한 해명에도 불구 이 프로젝트의 객관적이고 공정한 검증을 위해 전문성이 고려되고, 실제 필요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참여가 이뤄진 것인지에 대한 의구심이 가시지 않고 있다.

충북도의 안팎에서는 이번 프로젝트는 외자 유치가 핵심인 만큼 해외사정에 밝은 전문가들의 참여가 필수적이라는 점에서 이 분야의 전문가 참여가 미흡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역의료계의 한 관계자는 “초대형 프로젝트를 검증하는 과정에서 공정성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위원들의 비공개는 문제가 있다”며 “충북의 백년대계 먹거리를 설계하는 중요한 사안에 대해 위원들의 선택이 역사의 심판을 받게 된다는 점에서 소신있는 활동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