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내 사회적 기업은 모두 8개소로 전국 355개소의 2%에 그치는 등 크게 미약한 수준이다.

이에 따라 충남도가 사회적 기업 육성에 발벗고 나서 앞으로 사회적 기업이 크게 늘어나고, 이를 통한 일자리도 새롭게 창출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18일 ‘충남형 사회적 기업’ 육성계획을 발표하고, 오는 2014년까지 사회적 기업 200개를 육성하고, 이에 따른 일자리 2000개를 창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도는 우선 고용노동부의 규정과 별도로 도 자체 규정에 따라 △조직형태 △사회적 목적 실현 △정관 또는 규약 등 3가지 기준만 적용해 도내 시민사회단체(NGO) 및 비영리 단체 등이 사회적 기업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조건을 대폭 완화키로 했다.

특히 ‘충남형 사회적 기업 육성계획’에 따라 2014년까지 280억 원을 들여 사회적 육성에 나서기로 했다.

이를 위해 충남형 사회적기업으로 지정되는 기업에 대해선 1년 간 신규채용 인력에 대한 인건비 및 관리·전문인력 인건비, 4대 사회보험료, 사업개발비 등을 지원하고, 재심사를 통해 1년 간 추가지원이 가능토록 했다.

인건비는 기업 당 최대 10명까지 지원하고, 전문인력 1명에 한해 월 150만 원, 4대 사회보험료 사업주 부담분 전액, 사업개발비 1000만 원이 각각 지원된다.

사회적기업에 대한 지원과정에서 기업이 자립할 수 있는 경영여건을 만들고, 고용노동부의 사회적기업 인증 요건을 갖출 수 있도록 집중적인 경영컨설팅을 병행한다는 게 도의 구상이다.

또 충남형 사회적기업 확산을 위해 지역 밀착형 사회적기업 발굴과 육성 인프라 구축, 자립경영 지원 등 단계별 지원과제를 설정한 뒤 체계적으로 육성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도내에 입주한 대기업 계열사를 대상으로 사회공헌활동 참여 의향을 조사한 뒤 의향이 있는 업체와 기업의 ‘사회공헌 협력 양해각서(MOU)’ 체결 및 ‘1사 1사회적기업 결연’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 충남도내엔 8개 사회적기업(고용인원 138명)과 16개 예비 사회적기업(236명)이 고용노동부의 인증을 받아 활동 중이다.

이처럼 사회적 기업이 외면을 받고 있는 것은 그동안 자치단체가 아닌 고용노동부에서 직접 공모한 사업이기 때문에 관심이 그만큼 적었기 때문이며, 정부의 까다로운 인정조건도 한 원인으로 작용했다.

권희태 도 경제산업국장은 “시민단체 및 자원봉사자, 정부의 복지재정,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사회양극화 문제를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이런 방침을 마련했다”며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사회적 기업을 발굴 육성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