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중학교 3학년생이 치르는 2014학년도 대학입시부터 대학수학능력시험이 11월에 15일 간격으로 두 차례 실시될 것으로 보인다.
또 언어와 수리, 외국어 영역은 수준별로 출제되고 탐구영역은 과목 수가 대폭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 대입 선진화 연구회는 19일 이 같은 내용의 수능체제 개편 시안을 발표했다.
개편안에 따르면 2014학년도 수능이 복수시행 체제로 전환돼 연 2회 실시된다. 수년간 학습한 내용을 단 한번의 시험으로 평가해 진로를 결정하게 하는 것은 너무 가혹하고 수능 당일 질병이나 사고, 실수 등으로 인해 시험을 보지 못했을 경우 1년을 다시 기다려야만해 응시횟수를 2회로 늘리자는 취지다.
응시영역은 현재의 언어, 수리, 외국어영역이 각각 국어, 수학, 영어로 이름이 바뀐다. 또 난이도에 따라 국어 A/B형, 수학 A/B형, 영어 A/B형으로 구분된다.
탐구영역은 유사 분야끼리 시험과목이 통합되고 응시과목수도 줄어든다. 사회탐구의 경우 현재는 윤리, 국사, 한국지리, 경제지리, 세계지리 등 과목수가 11개나 되고 이 중 최대 4개 과목을 선택하게 돼 있으나 지리, 일반사회, 한국사, 세계사, 경제, 윤리 등 6개 과목으로 통합해 이 중 1개를 선택, 응시토록 한다는 것이다.
과학탐구도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등 4개로 통합해 이 중 1개를 선택하게 할 계획이다.
제2외국어·한문영역은 대입 반영 비율이 낮고 실질적인 제2외국어 교육에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수능에서 아예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또 언어와 수리, 외국어 영역은 수준별로 출제되고 탐구영역은 과목 수가 대폭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 대입 선진화 연구회는 19일 이 같은 내용의 수능체제 개편 시안을 발표했다.
개편안에 따르면 2014학년도 수능이 복수시행 체제로 전환돼 연 2회 실시된다. 수년간 학습한 내용을 단 한번의 시험으로 평가해 진로를 결정하게 하는 것은 너무 가혹하고 수능 당일 질병이나 사고, 실수 등으로 인해 시험을 보지 못했을 경우 1년을 다시 기다려야만해 응시횟수를 2회로 늘리자는 취지다.
응시영역은 현재의 언어, 수리, 외국어영역이 각각 국어, 수학, 영어로 이름이 바뀐다. 또 난이도에 따라 국어 A/B형, 수학 A/B형, 영어 A/B형으로 구분된다.
탐구영역은 유사 분야끼리 시험과목이 통합되고 응시과목수도 줄어든다. 사회탐구의 경우 현재는 윤리, 국사, 한국지리, 경제지리, 세계지리 등 과목수가 11개나 되고 이 중 최대 4개 과목을 선택하게 돼 있으나 지리, 일반사회, 한국사, 세계사, 경제, 윤리 등 6개 과목으로 통합해 이 중 1개를 선택, 응시토록 한다는 것이다.
과학탐구도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등 4개로 통합해 이 중 1개를 선택하게 할 계획이다.
제2외국어·한문영역은 대입 반영 비율이 낮고 실질적인 제2외국어 교육에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수능에서 아예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