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대덕구 연축지구 도시개발사업이 향후 진행 여부에 뚜렷한 청사진이 제시되지 않는 등 지역주민들의 신뢰를 잃으며 풀리지 않는 숙제로 남을 전망이다.
지구지정 및 개발계획 수립, G·B(그린벨트)해제, 실시계획 인가 추진 등 행정절차 소요기간 장기화가 우려되는데다 수용·사용방식의 공영개발만 가능해 사업진행에 난항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19일 대덕구에 따르면 연축지구 도시개발사업은 오정·송촌 생활권과 단절된 신탄진 생활권의 연결을 통한 대덕구 균형발전을 위해 대덕구 연축동 일원(신탄진 및 송촌생활권)에 총 면적 99만 3393㎡, 계획인구 1만 6239명(세대수 6014세대) 수용 규모의 행정·주거타운을 건설하는 사업이다.
구는 총사업비 3000억 원(2010년 대덕구 주요구정보고서)의 천문학적 예산이 투입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재원확보 방안에 있어 미온적으로 대응 등 구체적인 사업 가시화 준비에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장기·체계적인 재정확보 대책을 마련하기도 바쁜 가운데 ‘개발행위허가 제한지역’ 지정 고시 이후 공람공고, 지난 5월 도시개발구역 지정 요청, 그린벨트 해제 서류 작성 작업 등으로 절차에만 시간을 허비, 재원마련은 소홀한 상태다. 구 관계자는 “구역지정, 개발제한구역 해제 및 대전도시공사 사업 참여 등 적극적인 행·재정적 지원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대대적인 사업 홍보로 개발에 기대를 가졌던 주민들의 반응은 불신으로 이어지고 있다.
연축동 개발지구 인근의 한 공인중개사는 “재정이 점점 악화되는 상황에서 지역주민들은 개발사업에 있어 반신반의해하며 사업자체에 신뢰를 잃은지 오래다”라며 “토지 가격이 1.5~2배 올랐고 매매는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어 불만이 많은데 향후 사업진행에 대한 정보도 없어 불만이 많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공약사업으로 알고 있는데 수천 억의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이 단체장의 의지만으로 될 수 있는지 의문”이라며 반문했다.
반면 대덕구는 착공시기는 미정이지만 그린벨트 해제 서류가 준비되는 즉시 시에 제출, 국토해양부의 승인 후 곧바로 연축지구 개발사업의 첫삽을 뜨겠다는 입장이다.
구 관계자는 “우선 도시개발구역 지정을 받기 위해 그린벨트가 해제 돼야 하지만 그 기간만도 1년이상 걸려 향후 사업진행이 늦어질 것 같다”며 “국토부가 그린벨트 해제를 승인한다 해도 개발계획없이 구역지정을 하기 때문에 그 이전까지 사업자체의 구체적인 계획은 세울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재정 상황이 어렵더라도 민선 4기 때부터 공약사항으로 추진한 사업이기도 해 변동사항 없이 분명히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덕구는 연축동 도시개발사업과 함께 현 청사부지를 매각해 연축동에 복합 행정서비스 기능이 갖춰진 신청사 신축을 계획하고 있지만 제2의 동구 신청사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낳고 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지구지정 및 개발계획 수립, G·B(그린벨트)해제, 실시계획 인가 추진 등 행정절차 소요기간 장기화가 우려되는데다 수용·사용방식의 공영개발만 가능해 사업진행에 난항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19일 대덕구에 따르면 연축지구 도시개발사업은 오정·송촌 생활권과 단절된 신탄진 생활권의 연결을 통한 대덕구 균형발전을 위해 대덕구 연축동 일원(신탄진 및 송촌생활권)에 총 면적 99만 3393㎡, 계획인구 1만 6239명(세대수 6014세대) 수용 규모의 행정·주거타운을 건설하는 사업이다.
구는 총사업비 3000억 원(2010년 대덕구 주요구정보고서)의 천문학적 예산이 투입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재원확보 방안에 있어 미온적으로 대응 등 구체적인 사업 가시화 준비에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장기·체계적인 재정확보 대책을 마련하기도 바쁜 가운데 ‘개발행위허가 제한지역’ 지정 고시 이후 공람공고, 지난 5월 도시개발구역 지정 요청, 그린벨트 해제 서류 작성 작업 등으로 절차에만 시간을 허비, 재원마련은 소홀한 상태다. 구 관계자는 “구역지정, 개발제한구역 해제 및 대전도시공사 사업 참여 등 적극적인 행·재정적 지원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대대적인 사업 홍보로 개발에 기대를 가졌던 주민들의 반응은 불신으로 이어지고 있다.
연축동 개발지구 인근의 한 공인중개사는 “재정이 점점 악화되는 상황에서 지역주민들은 개발사업에 있어 반신반의해하며 사업자체에 신뢰를 잃은지 오래다”라며 “토지 가격이 1.5~2배 올랐고 매매는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어 불만이 많은데 향후 사업진행에 대한 정보도 없어 불만이 많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공약사업으로 알고 있는데 수천 억의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이 단체장의 의지만으로 될 수 있는지 의문”이라며 반문했다.
반면 대덕구는 착공시기는 미정이지만 그린벨트 해제 서류가 준비되는 즉시 시에 제출, 국토해양부의 승인 후 곧바로 연축지구 개발사업의 첫삽을 뜨겠다는 입장이다.
구 관계자는 “우선 도시개발구역 지정을 받기 위해 그린벨트가 해제 돼야 하지만 그 기간만도 1년이상 걸려 향후 사업진행이 늦어질 것 같다”며 “국토부가 그린벨트 해제를 승인한다 해도 개발계획없이 구역지정을 하기 때문에 그 이전까지 사업자체의 구체적인 계획은 세울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재정 상황이 어렵더라도 민선 4기 때부터 공약사항으로 추진한 사업이기도 해 변동사항 없이 분명히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덕구는 연축동 도시개발사업과 함께 현 청사부지를 매각해 연축동에 복합 행정서비스 기능이 갖춰진 신청사 신축을 계획하고 있지만 제2의 동구 신청사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낳고 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