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기 대입선진화 연구회가 19일 제시한 '2014학년도 수능시험 개편안'은 지난 1994년 대입수학능력시험 도입 이후 시도되는 가장 큰 변화다.

시험방식과 시험과목 명칭 및 조정, 수준별 응시 등 획기적인 변화를 주는 전면적인 대수술이다.

하지만 현행 수준의 수능이 존재하는 한 수험생들의 학습 부담은 여전하고 수능 비중 약화로 오히려 대학별 본고사 부활 등의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또 특정과목이 수능에서 빠질 경우 고교 수업이 파행으로 이어질 수 있고 해당 과목 교사들의 집단 반발 가능성도 있어 최종적인 확정안 도출까지 적지 않은 논란이 예상된다.

◆수능 두 번까지 볼 수 있다

개편안에 따르면 11월에 15일 간격으로 수능을 2회 시행해 그 중에서 점수가 좋은 과목을 골라서 제출할 수 있도록 했다. 수험생의 희망에 따라 2회까지 응시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국어, 수학, 영어 A^B형은 바꿀 수 없고 사회탐구, 과학탐구 선택과목은 바꿀 수 있다.

◆수준별 A·B형 시험 치른다

언어, 수리, 외국어 영역으로 돼 있던 과목 이름을 기초영역인 국어, 수학, 영어로 환원했다.

개선 방안은 기존 수리영역(수학)과 같이 국어, 영어에도 두 가지 수준의 A형과 B형 시험을 제공한다.

B형은 현행 수능 수준을 유지하고 A형은 현행보다 출제범위를 줄이고 쉽게 출제해 수험 부담을 최소화한 것이다. 한마디로 그동안에는 없던 별도의 '쉬운 시험'이 생기는 셈이다. 예체능 지원자와 전문계고 학생은 실기에 더 많은 공을 들여야 하는 만큼 A형을 선택해서 볼 수 있도록 했다. B형은 최대 두 과목까지 응시할 수 있고 국어, 수학, 영어 모두 B형을 볼 수는 없다.

◆시험과목 최대 8과목에서 최소 4과목으로

개편안은 사회와 탐구영역에서 한 과목만 선택하도록 했다. 대신 교과군을 도입해 유사과목을 통합한다. 한국지리와 세계지리를 묶어 지리로 하고 일반사회(법과정치·사회문화), 한국사, 세계사(세계사·동아시아사), 경제, 윤리(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등으로 통합해 이 중 한 과목을 본다는 것이다.

또 제2외국어와 한문은 분리(1안)하거나 현행을 유지(2안)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

시험 문항과 응시시간도 20문항 30분 시험에서 40문항 60분 시험으로 늘렸다. 좁은 범위에서 어렵게 출제하지 않고 넓은 범위에서 쉽게 내겠다는 취지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