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저탄소 녹색성장’이 세계적인 화두로 등장하고 있는 가운데 충남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저감대책과 선 순환적 에너지 구조 구축의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오는 2013년 한국이 온실가스 배출량 의무국가에 편성될 가능성이 높아 온실가스 감축목표량이 국가별로 할당될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각 지방자치단체는 기후변화 대응 및 탄소배출 저감대책의 집행주체로 각별한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충남도에 따르면 충남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8734만 9000t으로 전국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15.7%를 차지한다. 이는 전국 16개 광역자치단체 중 수위에 해당되는 수치이다.
특히 당진, 보령, 서천, 태안 등 도내 4개 화력발전소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6634만 8000t으로 총 발생량 중 80%에 가까운 수준을 점유하고 있다는 점에 문제의 심각성은 가중된다. 게다가 충남도는 전국 화력발전 비중의 40%를 담당하고 있고 이 가운데 화력발전소 전력생산량 대부분이 수도권으로 전송돼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충남도의 전력 소비 비중은 12.7%에 불과하다.
결과적으로 충남도는 전력량 생산비용은 물론 이에 따른 사회적 복구비용을 고스란히 떠안고 있는데다 이산화탄소 배출량 저감대책의 희생양이 되는 셈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2008년 4개 화력발전소는 ‘온실가스 자발적 감축협약’을 통해 5%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자체적인 배출감량을 시행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대안마련을 통한 친환경적 에너지 구조 구축은 여전히 요원한 실정이다.
도 관계자는 “국가전력수급 측면에서 발전 중인 화력발전소를 중단하기는 불가능하다”면서 “대체를 한다 해도 초기 투자비, 시설투자비 측면에서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화력발전에 대한 지역개발세 부과가 현실적 대안으로 재부상하고 있다. 여기서 발생하는 558억 원의 자주재원을 재생에너지 사업 등에 재투자해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중장기적 ‘마스터플랜’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에 근거한다. 도는 2010년 주택과 공공기관 태양광 시설 보급, Green-Home(그린 홈) 보급지원 등 ‘충남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에 223억 원을 투입해 이산화탄소 배출량 3116t 절감을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IGCC(석탄가스화복합발전)를 태안화력발전소에 설비 중이고, 완료 시 기존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11.9%의 절감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도 관계자는 “국가발전의 기조인 녹생성장에 있어 이산화탄소 저감정책은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며 “중장기적 안목에서 신기술 개발 및 연료·설비 개선을 통한 친환경적 에너지 구조를 정립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
오는 2013년 한국이 온실가스 배출량 의무국가에 편성될 가능성이 높아 온실가스 감축목표량이 국가별로 할당될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각 지방자치단체는 기후변화 대응 및 탄소배출 저감대책의 집행주체로 각별한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충남도에 따르면 충남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8734만 9000t으로 전국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15.7%를 차지한다. 이는 전국 16개 광역자치단체 중 수위에 해당되는 수치이다.
특히 당진, 보령, 서천, 태안 등 도내 4개 화력발전소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6634만 8000t으로 총 발생량 중 80%에 가까운 수준을 점유하고 있다는 점에 문제의 심각성은 가중된다. 게다가 충남도는 전국 화력발전 비중의 40%를 담당하고 있고 이 가운데 화력발전소 전력생산량 대부분이 수도권으로 전송돼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충남도의 전력 소비 비중은 12.7%에 불과하다.
결과적으로 충남도는 전력량 생산비용은 물론 이에 따른 사회적 복구비용을 고스란히 떠안고 있는데다 이산화탄소 배출량 저감대책의 희생양이 되는 셈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2008년 4개 화력발전소는 ‘온실가스 자발적 감축협약’을 통해 5%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자체적인 배출감량을 시행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대안마련을 통한 친환경적 에너지 구조 구축은 여전히 요원한 실정이다.
도 관계자는 “국가전력수급 측면에서 발전 중인 화력발전소를 중단하기는 불가능하다”면서 “대체를 한다 해도 초기 투자비, 시설투자비 측면에서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화력발전에 대한 지역개발세 부과가 현실적 대안으로 재부상하고 있다. 여기서 발생하는 558억 원의 자주재원을 재생에너지 사업 등에 재투자해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중장기적 ‘마스터플랜’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에 근거한다. 도는 2010년 주택과 공공기관 태양광 시설 보급, Green-Home(그린 홈) 보급지원 등 ‘충남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에 223억 원을 투입해 이산화탄소 배출량 3116t 절감을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IGCC(석탄가스화복합발전)를 태안화력발전소에 설비 중이고, 완료 시 기존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11.9%의 절감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도 관계자는 “국가발전의 기조인 녹생성장에 있어 이산화탄소 저감정책은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며 “중장기적 안목에서 신기술 개발 및 연료·설비 개선을 통한 친환경적 에너지 구조를 정립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