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충북도당위원장 선출을 위한 경선을 앞두고 인적쇄신과 위원장의 격(格)을 둘러싸고 당 안팎에서 잡음이 일고 있다.

개혁이라는 미명아래 정당 역사상 이례적으로 당원이 도당위원장에 출마하면서 혼란이 가중되고, 일부 당직자들이 출마후보에게 사퇴를 종용하면서 적잖은 갈등까지 야기되고 있다.

한나라당이 6·2지방선거 참패를 딛고 7·28 보선 승리를 거둔 뒤 강조한 ‘쇄신과 개혁’은 이미 요원해졌다는 게 중론이다.

한나라당 충북도당은 19일 정기대회를 열어 대의원 투표 방식의 경선을 통해 윤경식(48) 청주 흥덕갑 당협위원장과 김수회(46) 전국위원 등 2명 가운데 임기 1년의 차기 도당위원장을 선출한다.

당초 지역정가에서는 7·28 충주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당선된 윤진식 의원이 도당위원장으로 추대될 것으로 관측됐다.

하지만 윤 의원이 고향인 충주 발전을 위해 백의종군하겠다며 도당위원장직을 고사했다.

이 직책에 관심을 보였던 경대수 증평·진천·괴산·음성 당협위원장마저 "한나라당이 감투와 계파 싸움을 하는 것으로 왜곡돼 이번 경선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며 지난 16일 불참을 선언, 인적쇄신을 요구하는 당원과 지지자들의 바람은 좌절됐다.

'도당위원장 경험이 없는 당협위원장 위주'라는 도당위원장 선출 원칙에 따라 그간 원내·외를 불문하고 당협위원장들이 도당위원장을 맡아왔다.

당협위원장들의 합의를 통해 이뤄지는 구태의연한 선출방식이라는 지적도 일부 제기됐지만, 중량감 있는 인사들의 기용으로 당의 안정과 화합을 도모할 수 있다는 평가가 우세했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분열과 혼란이 깊어지다보니 당쇄신이라는 미명 아래 ‘당원의 도당위원장 출마’라는 초유의 일까지 맞게 됐다.

당 안팎에서는 평소 도당위원장 선출방식의 문제점을 지적해 온 김 위원이 사전에 일부 위원장들의 지지를 약속받고 ‘쇄신과 개혁’이라는 카드를 꺼내들어 출마했다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사실이라면 윤경식 위원장의 승리는 장담할 수 없다.

윤 위원장이 예측과 달리 이번 경선에서 패배하면 향후 정치행보에 있어 상당한 걸림돌로 작용할 게 불보듯 뻔하다.

김 위원이 당선될 경우 전국 어느 곳에서도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일로 기록되면서 도당 입장에서는 그다지 반길 일만은 아니다.

이러한 연유에서인지 최근 일부 당직자들이 나서서 김 위원에게 후보사퇴를 종용했지만 김 위원은 고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도당위원장 선출을 놓고 벌어진 일련의 과정을 놓고 볼 때 이미 한나라당의 인적쇄신과 개혁은 요원하다는 게 중론이다.

한나라당 한 관계자는 “6·2지방선거 참패를 딛고 7·28보선 승리를 거뒀다면 당원과 지지자들이 바라는 쇄신의 모습을 보여줘야 하지만 분열, 갈등, 혼란, 반목만 자리잡고 있다”고 지적했다.

당의 화합과 개혁보다는 2012년 총선 등 향후 정치행보에 비중을 둔 탓인지 당협위원장들의 적극적인 지지를 뒤로하고 도당위원장직을 고사한 윤진식 의원, ‘나눠먹기식’ 도당위원장 선출방식을 비난하며 경선을 주장했다 당초 취지와 어긋난다는 표면적 이유를 들어 불참을 선언한 경대수 의원에 대한 곱지않은 시선도 적잖다.

한 당원은 “본인들의 입장을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럴 때 도당을 맡아 화합과 결속의 계기를 마련해줬음 하는 바람이 컸다”며 “진정한 속내가 무엇인지는 앞으로 지켜보면 알 것”이라고 전했다.

하성진 기자

seongjin98@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