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종 충북지사와 한범덕 청주시장, 이종윤 청원군수가 민간주도의 주민참여형 청주·청원통합 추진을 천명함에 따라 청주·청원 민간협의체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그동안 지난 1994년과 2005년에 이어 올 초까지 세 차례나 통합이 무산된 이유 중 하나로 꼽히는 것이 바로 관주도의 통합운동이었다.

통합운동이 관주도로 이뤄지다보니 통합의 장·단점에 대한 논의보다는 '청원군수와 청주시장의 야합설', '충북도의 위상 축소설' 등으로 비화되면서 통합의 본질을 벗어난 소모적 논쟁이 통합실패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것이다.

이에 민·관 모두 앞으로의 통합추진은 민간차원의 통합추진기구를 구성하고 민간주도의 자율통합운동을 지향한다는데 뜻을 같이하고 있다.

구체적인 청주·청원통합 작업을 수행하는 통합추진위원회 구성에 앞서 주민 의견조율 작업을 맡게 되는 민간협의체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크고 작은 갈등 없이 민간협의체를 원만히 구성하고 운영해 나아가야만 민간주도의 자율통합 성사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지난 11일 이시종 충북지사와 한범덕 청주시장, 이종윤 청원군수는 '청주·청원통합 추진 합의문'을 통해 공동민간협의체 구성 방법을 '先독자협의체, 後공동협의체'로 합의했다.

이에 대해 이 청원군수는 "청주와 달리 청원은 통합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있다"며 "강제적인 흡수통합이 아니라 시와 군이 함께 발전하는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서 추진하겠다는 이해와 설득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당초 청주시는 통합 분위기가 충분히 조성된 이후 시와 군을 아우르는 민간협의체를 구성함으로써 혹시 모를 반대여론을 최소화하자는 입장이었지만 찬·반 의견조율이 필요한 청원군의 입장을 감안해 군의 제안을 수용했다.

따라서 시민 90% 이상이 통합에 찬성하는 청주시와 달리 찬·반 의견이 상존하는 청원군의 독자민간협의체에서 통합에 대한 합의가 얼마나 원만히 이뤄지느냐가 큰 관건이다.

일각에서는 독자민간협의체 내에서 찬·반 의견이 나뉘어 소모적 논쟁을 반복한다면 이전 통합 추진과정을 또다시 답습할 수밖에 없다는 우려를 표하고 있다.

특히 협의체 내에서 협의보다는 상대지역에 대한 요구 일색으로 진행될 경우 오히려 갈등을 키워 대화가 무산될 가능성도 간과할 수 없다.

한 지역 인사는 "독자협의체든 공동협의체든 가장 중요한 것은 최종 목적지가 통합이라는 것"이라며 "청주시는 청원군에 대한 아낌없는 지원을 검토하는 기구로, 청원군은 모든 군민들의 공감대를 얻을 수 있는 적극적인 설득작업의 장으로 협의체를 운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청원군의 주민공감대 형성이란 난제를 안고 있어 군민간 통합에 대한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며 "독자민간협의체 운영으로 주민공감대를 형성한 이후 공동협의체를 구성, 추진해 나갈 수 있는 충분한 시간적 여유가 있다"고 설명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