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대전시 동구 대전역 일원에 대한 ‘역세권 재정비촉진사업’이 수년 간 지연되면서 이 일대 주거지가 슬럼화 현상을 빚고 있는데다 우범지대로 전락, 주민들의 한숨 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본보 16일자 1면, 17일자 3면 보도>

17일 오전 10시 대전시 동구 대전역 동광장 인근 신안동(신안1구역) 일대.

대전역 뒷편인 이곳은 도심과 철저히 차단돼 시간이 멈춰버린 듯 적막감으로 가득했다.

두집 건너 한집은 빈집이고, 금방이라도 무너질것 같은 폐가들이 줄을 잇고 있어 을씨년스러웠다.

인적도 뜸해 도시의 어두운 그림자만이 남아있는 상태다.

또 미용실, 식당 등 인근 상점들은 대부분 개점휴업 상태로 문이 굳게 닫혀 있어 주민들의 불편을 짐작케 했다.

특히 폐가 내부에는 노숙자들이 사용한 듯한 텐트와 수북히 쌓인 온갖 생활쓰레기, 소주병 등이 널부러져 있었다.

우연히 만난 한 주민은 “일부 청소년들이 술, 담배를 즐기는 등 이 일대는 오래전부터 우범지대로 전락해 밤에는 돌아 다닐 수 없다”고 말했다. 이 일대는 이미 10여년 전부터 개발소식이 떠돌면서 외지인들이 주택을 매매, 실제 거주하지 않거나 원주민 이주 등으로 신안1구역 전체 가구수 800세대 중 150세대는 빈집이라는 것이 이 지역 재정비촉진사업 추진위원회 측의 설명이다.

김모(55·신안동) 씨는 “주민들을 희롱하는 것도 아니고, 원하지도 않은 개발을 시행한다고 해서 고통만 받고 있다”며 “지난 민선4기 선거를 의식해 공무원들이 거치레로 건의사항만 청취하고 돌아간 이후로는 아무 소식도 없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신범호 신안 1구역 재정비촉진사업 추진위원장은 “정비사업에 관련한 시의 소소한 설명자체도 없어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있다”며 “대전시가 명품도시를 건설한다고 하는데 주민들과의 호응을 얻지 못하고 개발만 한다고 나서는 것을 이해 할 수 없다. 재정비 촉진 호소문을 청와대, 각 정당 대표, 장관 등에게 보냈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런데도 대전시는 주민과의 소통없이 미온적으로 대응하고 있어 주민들의 답답함은 더욱 커져가고 있다.

시 관계자는 “촉진계획을 수립해서 결정·고시 했다. 더 이상 주민을 위해 시가 마련 할 수 있는 대책은 없다”고 일축했다.

한편 대전역사 증축사업을 포함한 '대전역세권 재정비촉진사업'은 동구 삼성·소제·신안·정동 등 88만 7000㎡ 일원을 오는 2020년까지 철도기관 청사를 중심으로 상업·업무·주거·문화·회의의 중심지로 발전시킨다는 재개발사업이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