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0일 충북테크노파크 공사현장에서 작업을 하던 인부가 안전모를 쓰지않은 채 추락사한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16일 청원군 오창읍의 한 공사현장에서 안전모를 쓰지 않은 인부들이 건물외벽에서 작업을 하고 있다. 이덕희 기자 withcrew@cctoday.co.kr  
 
충북도내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가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건설현장의 안전불감증 만연은 여전한데다 관리감독 대책 또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고용노동부 청주지청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6월까지 6개월간 도내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사건·사고 재해자 수는 91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1년 동안 발생한 재해자 수 600명 보다도 34%나 많은 인원으로 올해 상반기 중 발생한 안전사고가 이미 지난해 총 재하자 수를 넘어선 것이다.

도내 건설업 재해율 또한 지난 2005년 0.79%에서 2006년 0.85%, 2007년 0.81%, 2008년 0.93%, 2009년 1.08%로 매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사건·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지난 2008년 31명에서 2009년 41명으로 24.3% 증가한데 이어 올해는 상반기에만 34명을 기록중이다.

지역별로는 청주시가 올 상반기 재해자 수 96명으로 지난해 동기대비 34.3%(30명)가 늘었으며, 최근 오창을 중심으로 신축 공사현장이 늘어난 청원군의 경우도 72명으로 지난해 상반기 56명보다 15%(16명)가 증가했다.

이처럼 건설현장에서의 재해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는 것에 대해 고용노동부 청주지청은 중·소규모 공사현장에 대한 현황 파악이 쉽지 않은데다 관리감독 인력이 부족해 기업의 자체 안전지도에만 기댈 수 밖에 없는 현실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실제 도내 올 상반기 건설현장 사업장 수는 6797곳으로 지난해 4582곳보다 32.5%(2215곳)나 늘었으며, 정확히 파악되지 않는 중·소규모 사업장까지 포함하면 그 수가 10% 가량 많을 것으로 추산된다.

반면 이들을 관리감독해야할 건설현장의 안전 관리감독관은 턱없이 모자라 관리감독관 1명당 담당해야할 근로자 수가 평균 15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또한 100인 사업장 기준으로 근로자 수가 이보다 적은 중·소규모 사업장의 경우 관리감독관의 유무조차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지역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공사현장에서 ‘안전제일’을 강조하며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하고 있지만 공사현장이란 특성상 위험에 노출될 수 밖에 없다”며 “특히 현장에서 안전보호장구 착용 등을 근로자들에게 유도하고 있지만 연일 이어지는 폭염에 잘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고용노동부 청주지청 관계자는 “어느정도 규모가 있는 사업장에 대한 지도·감독은 꾸준히 이뤄지고 있지만 공사비 5억 원 미만의 중·소규모 사업장에 대한 관리는 힘든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정현 기자 cooldog72@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