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와 청원군 통합추진부서는 지난 7일 청원군청에서 실무협의회를 갖고 민선4기 동안 중단됐던 청원·청주광역행정협의회를 재개키로 합의했다.
이어 규약 개정을 통해 매년 4회(2·5·8·11월) 씩 정기회와 필요시 상호 협의에 따라 임시회를 갖기로 하는 한편 광역행정협의회 기금 관리를 청주시로 이관하는데 의견을 모았다.
광역행정협의회 재개는 선언적 의미뿐만 아니라 그 기능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
청주권 행정사무 공동 협의 창구 마련과 동시에 권역내 균형발전 및 광역행정의 효율적 추진이 가능해질 것이란 기대 때문이다.
그동안 청주·청원의 생활권과 행정권 불일치는 여러 가지 광역행정사업추진에 큰 걸림돌이 돼 왔다. 도시계획이나 도시기반시설, 상·하수도 시설, 교통·문화·체육시설 등의 유치 및 건설이 행정구역 이원화로 갈등의 원인이 됐던 것이다.
지난 1987년 12월 광역행정협의회가 출범한 이유도 이같은 이유에서다.
당시 양 시·군은 광역행정협의회를 통해 △도시종합계획의 수립 및 변경 시행 △공공시설의 설치 및 관리운영에 관한 사항 △주택단지 및 공업단지의 조성사업에 관한 사항 △교통망 확충에 관한 사항 △광역개발 및 광역행정 수행상 필요한 사항 등에 관한 결정을 협의키로 했다.
하지만 실제 광역행정을 위한 합의가 이뤄지는 창구 역할보다는 형식상 정기모임에 그쳐 그 이름을 무색케 해왔던 게 사실이다.
게다가 민선4기 들어서는 세 번째 청주·청원통합 추진을 앞두고 남상우 전 청주시장과 김재욱 전 청원군수를 중심으로한 갈등의 골이 더욱 깊어지면서 형식적 만남조차도 4년 동안 갖지 못했다.
이 때문에 이번 광역행정협의회의 재개 결정을 두고 단순히 양 지자체간 만남의 자리가 아닌 통합을 전제로 한 광역행정의 기본적인 틀 마련을 위한 창구의 역할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높다.
지난 11일 이시종 충북지사·한범덕 청주시장·이종윤 청원군수가 서명한 청주·청원통합 추진 합의문에 따르면 통합작업을 위해 3개 단체장이 참여하는 행정협의회 가동과 함께 각 지자체에 통합추진 실무부서를 설치키로 했다.
따라서 청원·청주광역행정협의회는 그 성격이 중복되지 않도록 당초 취지처럼 굳이 통합이 아니더라도 도시계획 등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광역행정 협의체 역할을 수행토록 차별화를 둬야 한다는 것이다.
한 지역 인사는 "실제 미래 광역도시계획의 밑그림을 공동으로 그려갈 수 있는 광역행정협의체 운영으로 지역 분산정책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군 관계자는 "양 지자체가 통합을 전제로 행정사무 공동 협의 처리를 위한 만남을 정기적으로 갖기로 한 것만으로도 그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 구체적인 추진계획은 다음 회의시 협의키로 했다"고 말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
이어 규약 개정을 통해 매년 4회(2·5·8·11월) 씩 정기회와 필요시 상호 협의에 따라 임시회를 갖기로 하는 한편 광역행정협의회 기금 관리를 청주시로 이관하는데 의견을 모았다.
광역행정협의회 재개는 선언적 의미뿐만 아니라 그 기능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
청주권 행정사무 공동 협의 창구 마련과 동시에 권역내 균형발전 및 광역행정의 효율적 추진이 가능해질 것이란 기대 때문이다.
그동안 청주·청원의 생활권과 행정권 불일치는 여러 가지 광역행정사업추진에 큰 걸림돌이 돼 왔다. 도시계획이나 도시기반시설, 상·하수도 시설, 교통·문화·체육시설 등의 유치 및 건설이 행정구역 이원화로 갈등의 원인이 됐던 것이다.
지난 1987년 12월 광역행정협의회가 출범한 이유도 이같은 이유에서다.
당시 양 시·군은 광역행정협의회를 통해 △도시종합계획의 수립 및 변경 시행 △공공시설의 설치 및 관리운영에 관한 사항 △주택단지 및 공업단지의 조성사업에 관한 사항 △교통망 확충에 관한 사항 △광역개발 및 광역행정 수행상 필요한 사항 등에 관한 결정을 협의키로 했다.
하지만 실제 광역행정을 위한 합의가 이뤄지는 창구 역할보다는 형식상 정기모임에 그쳐 그 이름을 무색케 해왔던 게 사실이다.
게다가 민선4기 들어서는 세 번째 청주·청원통합 추진을 앞두고 남상우 전 청주시장과 김재욱 전 청원군수를 중심으로한 갈등의 골이 더욱 깊어지면서 형식적 만남조차도 4년 동안 갖지 못했다.
이 때문에 이번 광역행정협의회의 재개 결정을 두고 단순히 양 지자체간 만남의 자리가 아닌 통합을 전제로 한 광역행정의 기본적인 틀 마련을 위한 창구의 역할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높다.
지난 11일 이시종 충북지사·한범덕 청주시장·이종윤 청원군수가 서명한 청주·청원통합 추진 합의문에 따르면 통합작업을 위해 3개 단체장이 참여하는 행정협의회 가동과 함께 각 지자체에 통합추진 실무부서를 설치키로 했다.
따라서 청원·청주광역행정협의회는 그 성격이 중복되지 않도록 당초 취지처럼 굳이 통합이 아니더라도 도시계획 등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광역행정 협의체 역할을 수행토록 차별화를 둬야 한다는 것이다.
한 지역 인사는 "실제 미래 광역도시계획의 밑그림을 공동으로 그려갈 수 있는 광역행정협의체 운영으로 지역 분산정책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군 관계자는 "양 지자체가 통합을 전제로 행정사무 공동 협의 처리를 위한 만남을 정기적으로 갖기로 한 것만으로도 그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 구체적인 추진계획은 다음 회의시 협의키로 했다"고 말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