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충북지역에서 아파트 입주때마다 건설사와 입주예정자들간 분쟁이 끊이질 않고 있어 건설사들이 몸살을 앓고 있다.

선분양 이후 입주 시기가 다가오면서 아파트 가격이 상승했다면 논란의 소지가 발생하지 않겠지만 전반적인 부동산 침체 여파로 아파트 가격이 오히려 분양 때보다 떨어지면서 입주자들의 보상심리가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분양을 받고도 기존 집이 안 팔려 입주를 못하는 상황까지 벌어지거나 대출을 받아 내집마련의 부푼 꿈을 이루려던 시민들이 무리한 대출에 따른 중도금 연체이자와 아파트 가격하락 등으로 이중고를 겪게 되면서 애꿎은 건설사들에게 화살이 향하고 있다.

◆잇따른 입주자 집단민원

충북도내에서 아파트 수요가 비교적 많은 청주의 경우 입주자들이 최근 몇년 동안 순조롭게 입주한 곳이 없을 정도로 입주를 앞둔 주민들과 시행·시공사 간 팽팽한 줄다리기가 지속되고 있다.

심지어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감정의 골이 깊어지면서 입주거부에 잔금납부 현상까지 발생하고 있어 심각한 상황으로까지 치닫고 있다.

이런 가운데 건설사들이 자금 확보를 위해 미분양 물량에 대한 할인분양에 들어가면서 기존 입주자들의 반발은 물론 인근 아파트의 분양과 입주에도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어 향후 도내에서 분양과 입주를 앞둔 건설사들의 고민이 깊다.

이와 함께 세종시와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 등으로 인한 충청권 투기바람이 불어 서울 등 전국적인 투기목적의 수요자들이 충북으로 몰렸지만 지금에 와서 사정이 여의치 않자 고분양에다 하자를 운운하며 분양가 할인 등을 요구하고 있다.

청원군 오송만 하더라도 이달 말부터 내년 초까지 입주가 잇따를 전망이어서 각종 민원이 벌써부터 건설사들의 골머리를 아프게 하고 있다.

◆해결방안은?

건설사들이 부동산경기가 좋던 시절에 조금씩 올리기 시작한 분양가도 문제인 데다 실수요자가 아닌 수도권 거주자들이 투기나 투자 목적으로 지방 아파트까지 손을 대면서 아파트가 기존의 주거목적을 상실하기 시작했다.

이렇게 장만한 아파트 가격이 롤러코스트처럼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고 있지만 누구도 책임져주지 않자 가격이 곤두박질하면서 다른 입주자들까지 여론몰이를 통해 ‘밑져야 본전’ 식으로 건설사에 트집부터 걸게 되는 보상심리가 문제라는 지적이다.

건설사들도 적정 분양가 책정은 물론 품질에 중점을 두고 책임시공으로 최선을 다해야만 입주 시 입주자들과 얼굴 붉히는 일만은 막을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아울러 집단민원의 근본적 원인인 부동산 경기침체를 해소하기 위해선 DTI(총부채상환비율) 완화와 아파트가 모두 지어진 다음에 구매 여부를 결정하는 후분양 제도도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도내 건설업계 관계자는 “아파트 입주예정자들의 집단반발은 전국적인 현상으로 주거가 아닌 투자목적으로 집을 장만하려는 생각 때문”이라며 “집단민원은 입주자들이 선정한 협의회와 대표를 통해 원만한 합의점을 찾는 것이 가장 올바른 해결 방안이며 부동산 경기 활성화를 위해 정부의 성의 있는 부동산 대책마련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한진 기자

adhj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