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유발과 이용율 저조 등으로 실효성 논란이 일고 있는 대전 대덕대로 자전거전용도로에 대해 원상복귀 등을 포함한 대대적인 개선작업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대전시는 12일 오후 시청 세미나실에서 (사)자전거도로 연구회와 공동으로 대덕대로 자전거전용도로 개선방향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자전거도로연구회 김성우 사무처장의 주제발표에 이어 자전거 동호인 대표, 대학교수, 시민단체 대표 등이 참석해 자전거도로 존폐 및 개선에 대한 열띤 토론을 벌였다.

자전거도로연구회 김성우 사무처장은 주제발표에서 현재 대덕대로 자전거도로의 문제점과 실효성, 존폐여부 등의 설문결과를 공개, 눈길을 끌었다.

김 사무처장에 따르면 시민 60여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88.3%가 효율적이지 않다는 부정적 의견을 보였고, 78% 이상이 위험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했다.

또 원상 복귀를 해야한다는 의견이 36.7%, 인도 추가확보 40%, 버스중앙차선 등 새로운 시스템 구축이 23.3%를 차지했다.

김 사무처장은 "대덕대로 자전거전용도로는 총 14억 4800만 원의 많은 예산이 투입됐지만 이날 토론회에서 제시된 대안을 실현하는 데는 그 이상의 비용이 들어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토론자로 나선 이희성 우송대 교수도 자전거도로가 제대로 된 검토없이 녹색성장이라는 당위성에 밀려 어쩔 수 없이 설치된 것이며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반면 대덕대로 자전거도로를 그대로 존치하는 대신 충분한 안전대책을 확보하고, 자전거 이용자 보호를 위한 시민 의식개선 등 수요자 중심의 교통정책이 확립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은정 녹색연합푸른자전거 회장은 "시설을 만들었으니 이용하라는 식의 정책은 공급 중심이지 실제 이용하는 사람 중심이 아니다"며 "자전거도로 철거도 대안이 될 수 없으며 자전거를 하나의 교통수단으로 인식하고, 이용자 보호를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엄태권 (사)MTB 연합회 부회장도 "현 대덕대로 바닥을 눈에 띄는 색으로 입히고, 청소 등 지속적인 안전관리를 한다면 점차 이용자가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시는 이날 제시된 의견을 토대로 올해 연말까지 대덕대로 자전거전용도로 개선작업을 마치고, 2011년까지 조성예정인 주요 간선도로 내 전용도로(340㎞) 건설계획에도 적극 반영할 방침이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