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압축천연가스(CNG) 버스의 연료용기 폭발 사고로 안전사고 위험성에 대한 지적이 일고 있는 가운데 10일 대전의 한 버스회사에서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현재 대전에 운행하는 965대의 시내버스 가운데 872대가 압축천연가스(CNG) 버스로 전체 90%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허만진 기자 hmj1985@cctoday.co.kr | ||
매연과 소음이 적다는 장점 때문에 친환경 대중교통수단으로 각광받던 CNG시내버스는 대전을 포함, 전국적으로 매년 도입률이 급증했지만 정작 안전관련 기준이나 제도정비는 수년째 제자리걸음을 걸으면서 시민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
10일 대전시, 관련 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 2001년 80대를 시작으로 대전에 첫 도입된 CNG시내버스는 해마다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며, 이달 현재 모두 872대가 운행되고 있다.
대전의 전체 시내버스 수가 965대라는 점을 감안하면 CNG버스의 도입률은 90.36%로 전국에서 최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반면 최근 5년간 발생한 폭발사고만 8건이 넘는 등 CNG시내버스의 폭발 사고는 끊이질 않고 있다.
지난 2005년 1월 전북 완주군 한 자동차 공장에서 출고를 앞두고, 가스를 충전하던 CNG버스가 폭발해 직원 1명이 다쳤고, 같은 해 8월에도 전북 전주시의 CNG충전소에서도 역시 충전 중이던 버스의 CNG용기가 터져 2명이 크게 다쳤다.
지난 2007년 12월에는 경기 구리시 북부간선도로를 달리던 CNG버스에서 가스가 누출해 폭발하는 사고가 터졌고, 2008년 7월과 8월, 지난해까지 충북 청주와 광주, 인천 등 전국 CNG충전소에서 충전을 마친 버스의 CNG용기가 폭발하는 등 사고는 계속됐다.
이에 대해 관련 전문가들은 CNG버스의 연료통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한다.
실제 지난 9일 서울 도심에서 발생한 천연가스(CNG) 시내버스 폭발사고도 노후화된 연료통에 생긴 미세한 균열을 통해 새어나간 가스가 발화점과 만나면서 폭발을 일으켰을 개연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한 전문가는 "제작 당시부터 품질결함이나 운행하면서 염화칼슘, 장애물 등으로 연료통이 손상 받을 수 있다. 버스가 운행하는 한 차제 밑바닥에 장착돼 있는 연료통은 각종 위험물로 손상이 발생할 수밖에 없고, 결국 이 같은 사고에서 지역에서도 재현될 가능성이 없지 않다"며 "천연가스는 공기보다 가볍기 때문에 미국 등 선진국처럼 연료통을 차제 밑바닥이 아닌 지붕에 설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CNG버스의 연료통에 대한 안전기준이 도입 10년이 지나도록 단 한 번도 제대로 마련되지 않았다는 점도 이번 사고의 핵심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차량에 장착된 CNG연료통의 경우 일반 연료통에 비해 잦은 충격을 받아 미세균열이 생길 가능성이 훨씬 높은데도 가스관리법에 적용되지 않으면서 교통안전공단의 간단한 가스 누출검사만 정기적으로 받고 있는 실정이다.
버스업계 관계자는 "버스 내구연한인 9년이 지나야 CNG버스와 함께 연료통도 같이 폐차되는 등 관련 안전기준이 전무하면서 지금까지 시민들은 달리는 시한폭탄을 타고 다녔다. 언제 터질지도 모른다는 불안한 마음은 운행하는 운전자 역시 똑같다"며 불안한 속내를 털어놨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