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성북동 일대 개발사업이 대전시와 대전도시공사 등 사업 주체들의 무관심 속에 수년째 답보상태에 머물고 있다. 특히 대전을 중부권 관광허브도시로 도약시키고, 지역의 부족한 관광자원을 개발, 시민들에게 새로운 개념의 휴식·레저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시작된 '성북동 종합관광단지 조성사업'이 민선5기 들어와 원점에서 재검토되는 등 사업 추진에 난항을 겪고 있다.
9일 대전시, 대전도시공사 등에 따르면 유성구 성북동 일원에 지난 2005년과 2006년 각각 시작된 서대전골프장(가칭) 조성사업과 성북동 종합관광단지 조성사업 등 메가 프로젝트사업들이 5년 넘게 착공조차 못하고 있다.
우선 지난 2005년 그린벨트(GB) 관리계획변경을 위한 용역을 거쳐 2006년 '2011 대전권 GB 관리계획(안) 사전협의'를 통해 시작된 서대전골프장 조성 사업. 이 사업은 이달 현재까지도 가시화되기는커녕 각종 인허가 절차에만 시간을 허비했고, 향후 진행될 사업 중 가장 힘든 관문으로 여겨지는 보상 절차가 또 다른 복병으로 남아있다.
반면 이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대전도시공사 측은 이번 달까지 실시설계 인·허가를 마치고, 물건조사 등의 절차를 거쳐 올해 안으로 보상업무에 착수해 빠르면 내년부터 착공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공사 관계자는 "협의보상을 원칙으로 삼아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지만 주민들의 요구가 과도하다고 판단이 되면 토지수용도 검토하고 있다. 남대전물류단지 등 기존의 사업을 보면 보상업무에 가장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입되는 등 언제까지 완료할 수 있다고 장담하기 힘들다"며 어려운 속내를 털어놨다.
또 지난 2006년 '2020 대전도시기본계획'에 시가화예정용지로 지정되면서 불거진 성북동 종합관광단지 조성 사업도 수년째 제자리걸음을 걷고 있다.
시는 지난해 성북동 일원에 총사업비 1조 5942억 원을 투입, 164만 3000㎡ 규모의 종합관광단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을 발표하고, 사업시행사로 도시공사를 선정했다. 그러나 천문학적인 사업비와 경기 침체 등의 영향으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자 시는 돌연 골프테마파크로 방향을 선회했고, 이마저도 민선5기에서는 논의조차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시 관계자는 "이 사업은 지방선거 기간동안 시행주체를 놓고, 실체가 없다는 논란이 있었다"며 "현재 사업추진이 중단된 상태로 향후 시민들의 여론을 수렴해 추진방향을 재설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9일 대전시, 대전도시공사 등에 따르면 유성구 성북동 일원에 지난 2005년과 2006년 각각 시작된 서대전골프장(가칭) 조성사업과 성북동 종합관광단지 조성사업 등 메가 프로젝트사업들이 5년 넘게 착공조차 못하고 있다.
우선 지난 2005년 그린벨트(GB) 관리계획변경을 위한 용역을 거쳐 2006년 '2011 대전권 GB 관리계획(안) 사전협의'를 통해 시작된 서대전골프장 조성 사업. 이 사업은 이달 현재까지도 가시화되기는커녕 각종 인허가 절차에만 시간을 허비했고, 향후 진행될 사업 중 가장 힘든 관문으로 여겨지는 보상 절차가 또 다른 복병으로 남아있다.
반면 이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대전도시공사 측은 이번 달까지 실시설계 인·허가를 마치고, 물건조사 등의 절차를 거쳐 올해 안으로 보상업무에 착수해 빠르면 내년부터 착공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공사 관계자는 "협의보상을 원칙으로 삼아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지만 주민들의 요구가 과도하다고 판단이 되면 토지수용도 검토하고 있다. 남대전물류단지 등 기존의 사업을 보면 보상업무에 가장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입되는 등 언제까지 완료할 수 있다고 장담하기 힘들다"며 어려운 속내를 털어놨다.
또 지난 2006년 '2020 대전도시기본계획'에 시가화예정용지로 지정되면서 불거진 성북동 종합관광단지 조성 사업도 수년째 제자리걸음을 걷고 있다.
시는 지난해 성북동 일원에 총사업비 1조 5942억 원을 투입, 164만 3000㎡ 규모의 종합관광단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을 발표하고, 사업시행사로 도시공사를 선정했다. 그러나 천문학적인 사업비와 경기 침체 등의 영향으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자 시는 돌연 골프테마파크로 방향을 선회했고, 이마저도 민선5기에서는 논의조차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시 관계자는 "이 사업은 지방선거 기간동안 시행주체를 놓고, 실체가 없다는 논란이 있었다"며 "현재 사업추진이 중단된 상태로 향후 시민들의 여론을 수렴해 추진방향을 재설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