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충남도교육청이 내달 1일 대대적으로 단행하는 교육행정기관 조직개편에 따라 메가톤급 인사태풍이 불 것으로 전망된다.
또 조직개편과 관련 일부 기능과 권한, 역할 변경을 둘러싸고 내부의견이 엇갈리면서 합의적 도출이 늦어지는 등 막판 진통도 나타나고 있다. 대전시교육청은 교육과학기술부의 '선진형 지역교육청 기능 및 조직개편'과 연계한 대규모 조직개편안을 확정, 조만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대전교육청의 조직개편안은 본청의 경우 현행 '2국 3담당관 8과 39담당'에서 '2국 3담당관 8과 41담당' 체제로 변경된다.
조직명칭도 창의학습지원과가 교수학습지원과로 변경되고 학력증진지원과가 학교교육지원과로 바뀌어 학력증진과 생활지도, 교원역량개발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또 공보감사담당관의 공보기능이 행정관리국의 총무과로 이동한다.
지역교육청은 학무국(초등교육과·중등교육과·평생교육체육과)이 교육지원국(교수학습지원과·학교교육지원과·평생교육체육과)으로, 관리국(총무과·행정과·시설과)이 행정지원국(운영지원과·재정지원과·시설지원과)로 각각 명칭과 기능이 변경된다.
충남교육청도 단위학교의 효과적인 지원과 교육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한다는 방침아래 본청과 직속기관, 지역교육층의 기능과 조직을 조정, ‘행정기구 설치 조례 시행규칙 전부개정규칙안’을 입법예고중이다.
개정안에 따르면 본청의 경우 교육감 직속으로 공보담당관을 신설하고, 정책기획 및 조직관리, 법무업무 강화를 위해 부교육감 직속으로 정책기획담당관을 신설했다.
특히 감사기능 강화를 위해 감사당담관을 개방형 직위로 4급 상당의 계약직 공무원으로 임명한다.
또 지역교육청의 감사업무가 본청으로 이관돼 감사담당관이 지역교육청 소속기관과 초중학교 감사에 관한 업무를 담당한다.
학교급별 중심 조직으로 운영되던 초·중등교육정책과도 통합해 장학 및 교원인사를 기능별로 재편해 신설되는 학교정책과와 교원능력개발과에서 담당한다.
충남교육청은 입법예고를 통해 다양한 의견수렴 절차를 밟아 효율적이면서 합리적인 방안을 도출, 내달 시행에 앞서 최종안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대전·충남교육청이 조직개편을 단행하면 담당관과 과가 신설되거나 폐지되고 분장사무가 통합, 조정되고 명칭까지 변경돼 대규모 인사이동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조직개편 과정을 둘러싸고 일부 기능과 권한, 업무를 놓고 물밑 힘겨루기와 반발로 인해 조율과정이 진행되는 등 술렁이는 분위기도 나타나고 있다.
전교조 관계자는 "감사기능을 지역교육청에서 본청으로 이관해 엄격한 감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한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며 "하지만 근본적인 처방이 아닌 사람과 자리는 그대로 둔 채 조직의 명칭만 변경된 것도 많아 단점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또 조직개편과 관련 일부 기능과 권한, 역할 변경을 둘러싸고 내부의견이 엇갈리면서 합의적 도출이 늦어지는 등 막판 진통도 나타나고 있다. 대전시교육청은 교육과학기술부의 '선진형 지역교육청 기능 및 조직개편'과 연계한 대규모 조직개편안을 확정, 조만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대전교육청의 조직개편안은 본청의 경우 현행 '2국 3담당관 8과 39담당'에서 '2국 3담당관 8과 41담당' 체제로 변경된다.
조직명칭도 창의학습지원과가 교수학습지원과로 변경되고 학력증진지원과가 학교교육지원과로 바뀌어 학력증진과 생활지도, 교원역량개발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또 공보감사담당관의 공보기능이 행정관리국의 총무과로 이동한다.
지역교육청은 학무국(초등교육과·중등교육과·평생교육체육과)이 교육지원국(교수학습지원과·학교교육지원과·평생교육체육과)으로, 관리국(총무과·행정과·시설과)이 행정지원국(운영지원과·재정지원과·시설지원과)로 각각 명칭과 기능이 변경된다.
충남교육청도 단위학교의 효과적인 지원과 교육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한다는 방침아래 본청과 직속기관, 지역교육층의 기능과 조직을 조정, ‘행정기구 설치 조례 시행규칙 전부개정규칙안’을 입법예고중이다.
개정안에 따르면 본청의 경우 교육감 직속으로 공보담당관을 신설하고, 정책기획 및 조직관리, 법무업무 강화를 위해 부교육감 직속으로 정책기획담당관을 신설했다.
특히 감사기능 강화를 위해 감사당담관을 개방형 직위로 4급 상당의 계약직 공무원으로 임명한다.
또 지역교육청의 감사업무가 본청으로 이관돼 감사담당관이 지역교육청 소속기관과 초중학교 감사에 관한 업무를 담당한다.
학교급별 중심 조직으로 운영되던 초·중등교육정책과도 통합해 장학 및 교원인사를 기능별로 재편해 신설되는 학교정책과와 교원능력개발과에서 담당한다.
충남교육청은 입법예고를 통해 다양한 의견수렴 절차를 밟아 효율적이면서 합리적인 방안을 도출, 내달 시행에 앞서 최종안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대전·충남교육청이 조직개편을 단행하면 담당관과 과가 신설되거나 폐지되고 분장사무가 통합, 조정되고 명칭까지 변경돼 대규모 인사이동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조직개편 과정을 둘러싸고 일부 기능과 권한, 업무를 놓고 물밑 힘겨루기와 반발로 인해 조율과정이 진행되는 등 술렁이는 분위기도 나타나고 있다.
전교조 관계자는 "감사기능을 지역교육청에서 본청으로 이관해 엄격한 감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한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며 "하지만 근본적인 처방이 아닌 사람과 자리는 그대로 둔 채 조직의 명칭만 변경된 것도 많아 단점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