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공석인 대덕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이하 대덕특구본부) 이사장의 공모 절차가 진행 중인 가운데 벌써부터 고위 공무원 내정설이 확산되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대덕특구본부 이사장직은 지난달 초 강계두 전 이사장이 돌연 광주시 경제부시장으로 내정돼 임기를 채우지 않은 채 자리를 옮기면서 지금까지 공석이다.
앞서 제1대 박인철 이사장 역시 지난 2008년 7월 임기를 한 달 여 앞두고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장으로 내정돼 자리를 비우는 등 지금까지 모든 이사장이 임기를 채우지 않고 전직해 문제가 됐다.
특히 전 두 이사장이 모두 각각 자신들의 고향인 광주와 대구로 돌아가 대덕특구와 경쟁할 수 밖에 없는 단체장이나 직위에 임명됐다는 점에서 지역의 우려는 더욱 컸다.
때문에 과학계와 지역 정계에서는 일련의 대덕특구본부 이사장의 일탈에 대한 비판과 함께 적정한 인물 선정으로 대덕특구의 바른 발전을 도모할 것을 요구해 왔다.
대덕특구 관계자는 “지금까지 두 명의 이사장은 결국 대전에서 노하우를 배워 대전과 경쟁하는 위치로 가게 된 것”이라며 “때문에 지역 출신의 유능한 인재를 새 이사장으로 뽑아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강 전 이사장 퇴임 직후부터 정계와 과학계에는 지식경제부 소속 고위 공무원들 중 한 명이 발탁될 것이란 얘기가 끊임없이 흘러나와 의혹을 자아냈다.
모 기관 관계자는 “강 이사장이 물러난 직후부터 지경부 1급 공무원들이 서로 오려고 줄을 섰다는 얘기는 이미 공공연한 사실”이라며 “특히 이번 내정에는 지경부의 입김이 약해졌고 대신 한나라당에서 직접 정해 줄 것이라는 소문이 가세했다”고 귀띔했다.
이런 가운데 소관 부처인 지경부는 새 이사장을 뽑기 위해 오는 14일까지 후보자를 모집하는 선임 절차를 진행 중이어서, 소문이 사실이라면 지역과 과학계, 나아가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라는 비난을 면키 어려울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 출연연 관계자는 “대덕특구의 문제는 곧 대한민국 과학정책의 문제”라며 “최근 정부 주도의 출연연 통합 작업을 비롯해 이번 대덕특구본부 이사장 선임에 관한 소문 등을 보면 우리나라 과학정책이 정말 과학을 위한 것인지 강한 의구심이 든다”고 비판했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대덕특구본부 이사장직은 지난달 초 강계두 전 이사장이 돌연 광주시 경제부시장으로 내정돼 임기를 채우지 않은 채 자리를 옮기면서 지금까지 공석이다.
앞서 제1대 박인철 이사장 역시 지난 2008년 7월 임기를 한 달 여 앞두고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장으로 내정돼 자리를 비우는 등 지금까지 모든 이사장이 임기를 채우지 않고 전직해 문제가 됐다.
특히 전 두 이사장이 모두 각각 자신들의 고향인 광주와 대구로 돌아가 대덕특구와 경쟁할 수 밖에 없는 단체장이나 직위에 임명됐다는 점에서 지역의 우려는 더욱 컸다.
때문에 과학계와 지역 정계에서는 일련의 대덕특구본부 이사장의 일탈에 대한 비판과 함께 적정한 인물 선정으로 대덕특구의 바른 발전을 도모할 것을 요구해 왔다.
대덕특구 관계자는 “지금까지 두 명의 이사장은 결국 대전에서 노하우를 배워 대전과 경쟁하는 위치로 가게 된 것”이라며 “때문에 지역 출신의 유능한 인재를 새 이사장으로 뽑아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강 전 이사장 퇴임 직후부터 정계와 과학계에는 지식경제부 소속 고위 공무원들 중 한 명이 발탁될 것이란 얘기가 끊임없이 흘러나와 의혹을 자아냈다.
모 기관 관계자는 “강 이사장이 물러난 직후부터 지경부 1급 공무원들이 서로 오려고 줄을 섰다는 얘기는 이미 공공연한 사실”이라며 “특히 이번 내정에는 지경부의 입김이 약해졌고 대신 한나라당에서 직접 정해 줄 것이라는 소문이 가세했다”고 귀띔했다.
이런 가운데 소관 부처인 지경부는 새 이사장을 뽑기 위해 오는 14일까지 후보자를 모집하는 선임 절차를 진행 중이어서, 소문이 사실이라면 지역과 과학계, 나아가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라는 비난을 면키 어려울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 출연연 관계자는 “대덕특구의 문제는 곧 대한민국 과학정책의 문제”라며 “최근 정부 주도의 출연연 통합 작업을 비롯해 이번 대덕특구본부 이사장 선임에 관한 소문 등을 보면 우리나라 과학정책이 정말 과학을 위한 것인지 강한 의구심이 든다”고 비판했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