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시내버스업계가 또 한 차례 홍역을 치르고 있다.
4일 대전시, 시내버스업계 등에 따르면 대전시내버스운송사업조합은 최근 임시총회를 열고, 현 A 이사장에 대한 불신임안을 표결에 부쳐 9:4로 통과시켰다.
전체 13개사의 시내버스 대표들로 구성된 대전시내버스운송조합은 이에 따라 B 씨를 이사장 직무대리로 임명하고, 이달 말 총회를 열어 신임 이사장을 선출한다는 계획이다.
그 동안 대전지역 9개 시내버스업체 대표들은 "무능력한 A 이사장이 독단과 독선으로 조합을 이끌고 있어 더 이상 이 문제를 좌시할 수 없다"며 법원에 직무정지가처분신청을 비롯한 법적 절차를 진행, 결국 임시총회를 갖고, A 이사장에 대한 불신임안을 의결했다.
모 업체 관계자는 "A 이사장이 독단적으로 업무를 처리하면서 조합의 이익에 반하는 행동을 했고, 수차례 요구한 총회 개최 요구를 묵살했다. 또 대전시가 약속한 보조금을 수년간 받지 못하는 등 A 씨의 독선과 무능으로 이번 사태를 초래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A 이사장은 "현 조합 정관에 이사장의 불신임안에 대한 의결 조항은 없다. 정관에도 없는 일을 벌인 만큼 법원에 소송을 제기해 잃어버린 명예를 다시 회복하겠다"고 반박했다.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들은 "대전시내버스운송조합이 내홍을 겪고 있는 것은 그동안 다수의 업체 대표들이 시를 상대로 수십억 원의 추가 보조금을 집행해 달라는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온건파인 A 씨가 시를 상대로 강력하게 요구하지 못하자 결국 강경파들이 나서 해결하려는 의도가 숨어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이들은 시를 상대로 △2007년 노동조합 파업 기간 중 발생한 고정비 지급 문제 △퇴직금 자연증가분 미 청구 문제 △CCTV 설치비용 지원 문제 △2008년 표준연비제 도입후 유류대(연료비) 추가 지원비 건 등 모두 수십억 원이 넘는 추가 보조금 지급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시는 일단 사태를 관망하며,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운송조합은 그동안 버스 준공영제를 이끄는 주체라는 점에서 시와 동반자적 입장을 견지해 왔다"며 "그러나 일부 업체들이 시를 상대로 무리한 요구를 해왔고, 이 부분은 정해진 원칙에 따라 들어 줄 수 없는 부분들로 내부적으로 잘 해결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일련의 사태를 지켜본 시민들은 대부분 "그동안 시내버스 업계가 자체적인 경비 절감 노력으로 준공영제의 성공적인 운영을 이끌기 보다는 40만 승객들을 볼모로 안일하게 운영했다"며 "시 보조금은 눈먼 돈이라는 시각을 깨고, 자율적인 경영 합리화의 길을 걸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4일 대전시, 시내버스업계 등에 따르면 대전시내버스운송사업조합은 최근 임시총회를 열고, 현 A 이사장에 대한 불신임안을 표결에 부쳐 9:4로 통과시켰다.
전체 13개사의 시내버스 대표들로 구성된 대전시내버스운송조합은 이에 따라 B 씨를 이사장 직무대리로 임명하고, 이달 말 총회를 열어 신임 이사장을 선출한다는 계획이다.
그 동안 대전지역 9개 시내버스업체 대표들은 "무능력한 A 이사장이 독단과 독선으로 조합을 이끌고 있어 더 이상 이 문제를 좌시할 수 없다"며 법원에 직무정지가처분신청을 비롯한 법적 절차를 진행, 결국 임시총회를 갖고, A 이사장에 대한 불신임안을 의결했다.
모 업체 관계자는 "A 이사장이 독단적으로 업무를 처리하면서 조합의 이익에 반하는 행동을 했고, 수차례 요구한 총회 개최 요구를 묵살했다. 또 대전시가 약속한 보조금을 수년간 받지 못하는 등 A 씨의 독선과 무능으로 이번 사태를 초래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A 이사장은 "현 조합 정관에 이사장의 불신임안에 대한 의결 조항은 없다. 정관에도 없는 일을 벌인 만큼 법원에 소송을 제기해 잃어버린 명예를 다시 회복하겠다"고 반박했다.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들은 "대전시내버스운송조합이 내홍을 겪고 있는 것은 그동안 다수의 업체 대표들이 시를 상대로 수십억 원의 추가 보조금을 집행해 달라는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온건파인 A 씨가 시를 상대로 강력하게 요구하지 못하자 결국 강경파들이 나서 해결하려는 의도가 숨어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이들은 시를 상대로 △2007년 노동조합 파업 기간 중 발생한 고정비 지급 문제 △퇴직금 자연증가분 미 청구 문제 △CCTV 설치비용 지원 문제 △2008년 표준연비제 도입후 유류대(연료비) 추가 지원비 건 등 모두 수십억 원이 넘는 추가 보조금 지급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시는 일단 사태를 관망하며,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운송조합은 그동안 버스 준공영제를 이끄는 주체라는 점에서 시와 동반자적 입장을 견지해 왔다"며 "그러나 일부 업체들이 시를 상대로 무리한 요구를 해왔고, 이 부분은 정해진 원칙에 따라 들어 줄 수 없는 부분들로 내부적으로 잘 해결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일련의 사태를 지켜본 시민들은 대부분 "그동안 시내버스 업계가 자체적인 경비 절감 노력으로 준공영제의 성공적인 운영을 이끌기 보다는 40만 승객들을 볼모로 안일하게 운영했다"며 "시 보조금은 눈먼 돈이라는 시각을 깨고, 자율적인 경영 합리화의 길을 걸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