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 지역 대학들이 수시모집을 앞두고 실추된 이미지 회복에 전전긍긍하고 있다.
한 달 앞으로 다가온 2011학년도 수시모집을 앞두고 법정다툼 등으로 비화된 각종 학내 사태가 신입생 모집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을까하는 우려 때문이다.
특히, 지역 대학들이 겪고 있는 ‘문제’들이 총장 및 총학생회장 선출을 두고 벌어지는 고소·고발과 교수에 의한 학생 성추행, 지원금 횡령, 교수 임용 잡음, 취업률 허위·과장 등 대부분 상아탑의 위상을 흔드는 민감한 내용들이어서 우려를 더욱 깊어지게 하고 있다.
충남대의 경우 경영전문대학원 설립을 놓고 벌어졌던 교수들의 갈등이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모 교수가 연구비 횡령 혐의로 기소되면서 지역 거점 국립대 명성에 적지 않은 상처를 받았다.
또 이 대학의 모 교수가 최근 외국인 유학생을 성희롱한 혐의로 징계위원회에서 해임처분을 받으면서 학교 이미지에 심각한 오점을 남겼다.
한남대는 총장의 논문 표절 의혹이 제기돼 진위와 관계없이 이미지에 타격을 입은 바 있으며 제자로부터 금품을 받은 혐의로 사법기관 최종 판결을 앞둔 교수를 승진 임용한 사실이 논란이 되기도 했다.
또한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인가를 추진했던 한남대는 인가를 위해 채용했던 일부 법학전공 교수들을 인가가 무산되자 재임용에서 탈락시키면서 기독교재단 대학으로서의 이미지에 흠집을 남겼다.
기독교재단 대학인 목원대 역시 이사회 파행으로 인해 수년째 갈등을 빚고 있는 데다 최근 총장 선출을 놓고 초빙 공고와 취소 공고로 학내 구성원들이 맞서면서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특히, 현역 목사인 모 총장후보자는 자격조건에 맞게 위변조한 서류를 제출해 후보자격을 박탈당하기도 했다.
대전대는 총학생회장의 연임을 놓고 학교와 학생자치기구가 대립각을 세우다 결국 학교 측이 해당학생을 제적 처분을 내리면서 갈등의 골이 깊어졌다. 이후 총학생회와 학교, 교수간 고소사태가 벌어지면서 ‘대학의 지성’이 심각하게 훼손됐다.
이밖에 건양대는 신입생 모집과정에서 권역별 순위 등을 전체 취업률 순위인 것처럼 포장해 ‘최업률 1위’로 허위·과장 광고한 사실이 적발돼 시정조치가 내려졌다.
중부대는 최근 학생과 교수 등 학내 구성원간 갈등이 교수의 동성애 성추행과 지원금 횡령에 대한 폭로전으로 이어지면서 어렵게 쌓아온 학교의 위상을 한 순간 무너뜨렸다.
지역 대학 한 관계자는 “지역 거의 모든 대학들이 안팍으로 시끄러운 사태를 맞으면서 신입생 모집에 악영향을 미칠지 걱정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각종 대회 수상실적과 공무원, 교사합격자 배출은 물론 활발한 자원봉사 활동을 통해 이미지 쇄신에 노력하고 있지만 어느정도 상쇄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한 달 앞으로 다가온 2011학년도 수시모집을 앞두고 법정다툼 등으로 비화된 각종 학내 사태가 신입생 모집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을까하는 우려 때문이다.
특히, 지역 대학들이 겪고 있는 ‘문제’들이 총장 및 총학생회장 선출을 두고 벌어지는 고소·고발과 교수에 의한 학생 성추행, 지원금 횡령, 교수 임용 잡음, 취업률 허위·과장 등 대부분 상아탑의 위상을 흔드는 민감한 내용들이어서 우려를 더욱 깊어지게 하고 있다.
충남대의 경우 경영전문대학원 설립을 놓고 벌어졌던 교수들의 갈등이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모 교수가 연구비 횡령 혐의로 기소되면서 지역 거점 국립대 명성에 적지 않은 상처를 받았다.
또 이 대학의 모 교수가 최근 외국인 유학생을 성희롱한 혐의로 징계위원회에서 해임처분을 받으면서 학교 이미지에 심각한 오점을 남겼다.
한남대는 총장의 논문 표절 의혹이 제기돼 진위와 관계없이 이미지에 타격을 입은 바 있으며 제자로부터 금품을 받은 혐의로 사법기관 최종 판결을 앞둔 교수를 승진 임용한 사실이 논란이 되기도 했다.
또한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인가를 추진했던 한남대는 인가를 위해 채용했던 일부 법학전공 교수들을 인가가 무산되자 재임용에서 탈락시키면서 기독교재단 대학으로서의 이미지에 흠집을 남겼다.
기독교재단 대학인 목원대 역시 이사회 파행으로 인해 수년째 갈등을 빚고 있는 데다 최근 총장 선출을 놓고 초빙 공고와 취소 공고로 학내 구성원들이 맞서면서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특히, 현역 목사인 모 총장후보자는 자격조건에 맞게 위변조한 서류를 제출해 후보자격을 박탈당하기도 했다.
대전대는 총학생회장의 연임을 놓고 학교와 학생자치기구가 대립각을 세우다 결국 학교 측이 해당학생을 제적 처분을 내리면서 갈등의 골이 깊어졌다. 이후 총학생회와 학교, 교수간 고소사태가 벌어지면서 ‘대학의 지성’이 심각하게 훼손됐다.
이밖에 건양대는 신입생 모집과정에서 권역별 순위 등을 전체 취업률 순위인 것처럼 포장해 ‘최업률 1위’로 허위·과장 광고한 사실이 적발돼 시정조치가 내려졌다.
중부대는 최근 학생과 교수 등 학내 구성원간 갈등이 교수의 동성애 성추행과 지원금 횡령에 대한 폭로전으로 이어지면서 어렵게 쌓아온 학교의 위상을 한 순간 무너뜨렸다.
지역 대학 한 관계자는 “지역 거의 모든 대학들이 안팍으로 시끄러운 사태를 맞으면서 신입생 모집에 악영향을 미칠지 걱정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각종 대회 수상실적과 공무원, 교사합격자 배출은 물론 활발한 자원봉사 활동을 통해 이미지 쇄신에 노력하고 있지만 어느정도 상쇄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