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의 백년먹거리 오송바이오메카 육성의 성공을 위해서는 전담부서 구성을 통한 조직의 전문화가 우선돼야 한다. 민선5기 조직개편안에는 이러한 부분이 배제된 상태다. 오송바이오메카는 첨복단지, 외자유치, 역세권 개발, 세종시 문제 등과 관련 국가정책들을 총괄적으로 담당해 효과적인 행정수행과 대응능력을 키워야 한다.
특히 오송바이오메카의 핵심인 첨복단지는 대구와 경쟁체제에 있어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대응력을 갖춘 전담팀이 절실한 상황이다.
충북도 관계자는 “바이오산업 전반에 걸친 것을 전담할 조직이 필요하기 때문에 관련 부서 또는 테스크포스팀이 구성돼야 한다”고 밝혔다. 전담팀 운영 이외에 현재 검증단계에 있는 오송메디컬그린시티에 대한 사업 지속 추진 결정이 신속히 이뤄져야 한다. 오송메디컬그린시티는 외국의 병원, 교육시설, 연구시설을 유치하는 것으로 첨복단지 성공적 조건을 위해 필수적인 분야들이다. 이들 시설유치가 어려워질 경우 첨복단지 성공조건 중 하나인 고급전문인력 유치에 막대한 차질을 빚을 수 있어 어떤 형태로든 반드시 성사시켜야 한다.
여기에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이 수반돼야 한다. 외국 병원, 교육시설, 연구시설을 첨복단지 밖에 유치할 경우 유치에 어려움이 따른다.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될 경우 외자유치에 따른 혜택을 부여할 수 있어 그만큼 사업추진이 수월해진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 유치에 대한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과학비즈니스벨트의 핵심시설인 중이온가속기는 첨복단지에 있어 중요한 시설에 해당한다. 암 치료 등에 유용한 시설이자 R&D을 수행하는 연구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시설이기도 하다. 세종시나 오송·오창이 아닌 타지역으로 갈 경우 충북은 그만큼 손해를 보는 셈이다.
중이온가속기를 대체할 방사광가속기 오창 유치도 박차를 가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충북도는 오창지역의 지질조사와 유치를 위한 타당성 용역연구를 통해 오창이 적합지역임을 입증하는 등 방사광가속기 유치노력을 기울여왔다. 현재 주춤하고 있는 방사광가속기 유치 노력에 활력을 불어넣을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오송생명과학단지내에 설립이 확정됐지만 아직 사업을 추진하지 못하고 있는 국립노화연구소 유치 노력도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노화연구소는 부산, 광주 등 타지역에서 눈독을 들일 만큼 의료산업에 있어 중요한 시설이다. 보건복지부는 이미 오래전에 노화연구소를 오송단지에 건립하기로 결정했으나 유치에 나선 지자체의 국회의원들이 관련법 개정안을 제출해 국회에 계류중이다. 오송단지 건립이 결정됐지만 자칫 결정사항이 번복될 수 있다는 점에서 충북도의 관심과 유치노력이 필요하다.
도 관계자는 “오송단지에 노화연구소를 건립한다는 보건복지부의 입장은 변함없다”며 “하지만 사업이 시작될때까지 긴장을 늦추지 않고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세계적 오송바이오메카 육성을 위한 선결조건을 해결하거나 갖추기 위해서는 여야를 막론한 지역국회의원과 해당 지자체들의 협력적 관계를 통한 역량결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끝>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특히 오송바이오메카의 핵심인 첨복단지는 대구와 경쟁체제에 있어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대응력을 갖춘 전담팀이 절실한 상황이다.
충북도 관계자는 “바이오산업 전반에 걸친 것을 전담할 조직이 필요하기 때문에 관련 부서 또는 테스크포스팀이 구성돼야 한다”고 밝혔다. 전담팀 운영 이외에 현재 검증단계에 있는 오송메디컬그린시티에 대한 사업 지속 추진 결정이 신속히 이뤄져야 한다. 오송메디컬그린시티는 외국의 병원, 교육시설, 연구시설을 유치하는 것으로 첨복단지 성공적 조건을 위해 필수적인 분야들이다. 이들 시설유치가 어려워질 경우 첨복단지 성공조건 중 하나인 고급전문인력 유치에 막대한 차질을 빚을 수 있어 어떤 형태로든 반드시 성사시켜야 한다.
여기에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이 수반돼야 한다. 외국 병원, 교육시설, 연구시설을 첨복단지 밖에 유치할 경우 유치에 어려움이 따른다.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될 경우 외자유치에 따른 혜택을 부여할 수 있어 그만큼 사업추진이 수월해진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 유치에 대한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과학비즈니스벨트의 핵심시설인 중이온가속기는 첨복단지에 있어 중요한 시설에 해당한다. 암 치료 등에 유용한 시설이자 R&D을 수행하는 연구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시설이기도 하다. 세종시나 오송·오창이 아닌 타지역으로 갈 경우 충북은 그만큼 손해를 보는 셈이다.
중이온가속기를 대체할 방사광가속기 오창 유치도 박차를 가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충북도는 오창지역의 지질조사와 유치를 위한 타당성 용역연구를 통해 오창이 적합지역임을 입증하는 등 방사광가속기 유치노력을 기울여왔다. 현재 주춤하고 있는 방사광가속기 유치 노력에 활력을 불어넣을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오송생명과학단지내에 설립이 확정됐지만 아직 사업을 추진하지 못하고 있는 국립노화연구소 유치 노력도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노화연구소는 부산, 광주 등 타지역에서 눈독을 들일 만큼 의료산업에 있어 중요한 시설이다. 보건복지부는 이미 오래전에 노화연구소를 오송단지에 건립하기로 결정했으나 유치에 나선 지자체의 국회의원들이 관련법 개정안을 제출해 국회에 계류중이다. 오송단지 건립이 결정됐지만 자칫 결정사항이 번복될 수 있다는 점에서 충북도의 관심과 유치노력이 필요하다.
도 관계자는 “오송단지에 노화연구소를 건립한다는 보건복지부의 입장은 변함없다”며 “하지만 사업이 시작될때까지 긴장을 늦추지 않고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세계적 오송바이오메카 육성을 위한 선결조건을 해결하거나 갖추기 위해서는 여야를 막론한 지역국회의원과 해당 지자체들의 협력적 관계를 통한 역량결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끝>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